복사냉각이란, 구름 없이 맑은 날씨일수록 기온 떨어져…

복사냉각이란[사진=해당 기사와는 무관함]
아주경제 최승현 기자 = 복사냉각이란 무엇일까?

복사냉각이란 대기복사에 의한 대기의 냉각과 지구복사에 의한 지표면의 냉각 현상을 말한다.

대류권은 평균적으로 항상 복사냉각이 일어나고 있어, 대류에 의한 현열 및 숨은 열을 지표로부터 계속 공급받고 있다. 지표면의 복사냉각은 특히 맑고 바람이 약한 야간에 왕성하다.

비가 오거나 구름이 끼면 지표면에 보관 중이던 열을 빼앗기지 않지만, 구름 없이 맑은 날씨에는 지표면의 열이 대기권 밖으로 발산돼 기온이 더 떨어지는 게 복사냉각으로 인한 현상이다.

이에 네티즌들은 "복사냉각이란, 그래서 추운 거구나", "복사냉각이란, 따뜻하게 입고 다녀야겠다", "복사냉각이란, 신기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기상청은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에 비해 10도 가까이 떨어진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서울은 구름 없는 맑은 날씨를 보이면서 복사냉각 현상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