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방글라데시 휴대폰 수입관세 인상 후 밀수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22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방글라데시 정부기 지난 7월 휴대폰의 수입관세를 2배로 인상한 후 밀수 물량이 급격히 늘어 유통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코트라 다카무역관은 현지 언론이 삼성전자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에서는 연간 1800만 대의 휴대폰이 판매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297억 타카(약 3억8000만 달러, 1달러=77.5 타카 적용)에 달한다. 이 중 스마트폰 등 고급제품 판매는 약 200만 대로 추정됐다.

특히, 전체 시장 규모 297억 타카 중 약 20%에 해당하는 59억4000만 타카 규모는 밀수품 시장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스마트폰 등 고급제품의 경우 밀수 비중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휴대폰 수입에 대한 15%의 수입부가가치세(VAT)를 신규로 부과하고, 대신 정규 관세(CD)를 기존 10%에서 5%로 인하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수입 단계에 부담하는 관세 부담은 기존 10%에서 20.75%로 증가했다.

방글라데시에서 휴대폰을 생산하는 업체가 전무함에도 이처럼 수입관세 부담을 증가시킨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세수 확보에 고심하는 방글라데시 정부가 징세가 비교적 용이한 관세 부분, 그 중에서도 특히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는 휴대폰을 타깃으로 삼은 것이라고 코트라는 분석했다. 2014년 기준 방글라데시 휴대폰 가입자는 1억1800만 명에 달한다.

휴대폰은 가격에 비해 부피나 무게가 작아 밀수에 적합한 품목으로 이번 관세 인상은 밀수품 수입과 판매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반응이다.

코트라는 정부의 조세정책을 직접적으로 바꾸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 브랜드 휴대폰이 현지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업계 간 공조를 통해 밀수품에 대한 정부의 단속과 처벌을 강화하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전했다.

또한 코트라는 휴대폰과 같은 대기업 제품과 달리, 중소기업 제품은 밀수가 아닌 중국산 위조품 범람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방글라데시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던 한국 중소기업이 새로이 시장을 개척하려고 방글라데시시장을 조사한 결과, 이미 중국산 위조품이 범람해 정작 한국 브랜드 제품이 진입할 여지가 없거나 위조품으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가 크게 손상된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다.

최종 소비자가 위조품을 구매하는 경우, 기업 경영자가 위조품임을 인지하면서도 비용 절감을 위해 구매하는 경우도 있으며, 소모품 성격의 제품인 경우 실무자 선에서 위조품임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방글라데시도 상표등록제도를 갖고 있으나 상표 등록 자체에 2~3년이 소요되며, 등록이 됐다 하더라도 위조품을 막을 현지 법제도나 단속 제도가 부실해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현지시장 방문을 통해 위조브랜드와 정품브랜드 간의 차이점(로고, 외견 등), 품질상 이점 등을 소비자와 유통상에게 알림으로써 위조품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공장에서 대량으로 소요되는 품목인 경우 한국과의 직접 거래 방법을 제시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