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원안위는 26일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통해 월성 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허가 논의에 들어간다.
3년째 가동 중단된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허가를 놓고 찬반이 크게 엇갈려 지난달과 이번달 12일 등 두 차례 연기된 바 있다.
원전 전문가들은 월성1호기가 가동되지 않을 경우 그 만큼 대체 전력원인 가스나 석유를 이용한 경제적 손실을 따져야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월성1호기를 연간 300일정도 가동할 때 발전 금액은 약 2000억원이나 LNG 생산은 약 6000억원 가량이 들어간다. 1년간 월성1호기를 운영할 경우에는 약 4000억원, 8년이면 약 3조2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계산이다.
특히 부존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급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을 얻고 있다.
신규 발전설비 부지 확보 여건 등을 고려할 때 안전성과 경제성이 입증된 장기가동 원전 설비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 발전량 실적에 따른 사업자 지원사업과 지역개발세 등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지난해 국회 예산정책처 자료를 보면 계속 운전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 보다 약 1395억원∼3909억원 가량 이득이 있다는 분석도 이를 뒷받침한다.
부존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급 현실과 신규 발전설비 부지 확보 및 건설비용·환경 부담비용 등 총체적으로 고려하면 월성원전 1호기 수명 연장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문제는 안전성이다. 골프공 크기의 우라늄 1kg 만으로 석유 9000드럼이나 석탄 3000톤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지만 리스크도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건 월성원전 1호기의 경우는 후쿠시마나 원전사고와 묶어 비하할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후쿠시마 사고와 노후원전과는 관계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우 비상디젤발전기가 지하에 설치된 원전의 구조가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진 이후 쓰나미가 밀려왔을 때 원전 안전의 최후 보루라고 할 수 있는 비상디젤발전기가 지하에 있어 물에 잠긴 상태로 전원 공급을 할 수 없었다.
국제원자력기구의 안전 기준을 근거로 한 점검 결과를 보더라도 월성1호기는 장기 가동운전과 경년열화관리(운전연수 경과에 따른 설비상태관리)를 위해 광범위한 설비개선작업을 수행하는 등 매우 우수한 상태로 결론을 내린 상태다.
이날 에너지정책 국민 공감토론회에서는 원자력을 둘러싼 갈등양상이 후쿠시마 사고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등 원전 정책에 대한 견해차가 국민들 사이에 일종의 세력균형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원자력발전을 확대‧유지‧축소‧폐기했을 경우 발생할 상황과 효과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논의해야한다는 제언에서다. 찬반양론으로 뜨거운 원전정책이 새로운 가치를 꽃피울 수 있도록 범국민적 합의형성의 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 원전 전문가는 “안전성 논란을 여론화해 본질을 퇴색시키고 있다”며 “소모적인 안전성 논란은 중단돼야 하고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 해소와 지역지원사업 등을 구체적인 대책이 나와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전문가는 “가동 연장이냐 폐쇄냐의 갈림길에 놓여있으나 가동 연장 여부 심의를 더 이상 연기해선 안 된다”면서 “원안위의 결정이 장기간 지연되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