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이는 의사가 1500명이 넘는 서울 시민과 직간접 접촉을 벌였는데도 보건당국의 대응태도가 안일하다는 서울시의 발표와 관련해 정부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보건복지부는 5일 서울시의 '메르스 증상이 의심되는 환자가 1500명이 넘는 시민과 접촉했는데도 정부의 대처가 수동적이고, 해당 환자 정보 공유 조차 안했다'는 주장에 대해 "지난 3일 관계자 회의를 개최해 관련 정보를 공유했으며, 정부는 환자 접촉 위험도를 고려해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반박했다.
복지부는 "긴급 문제가 된 35번 환자는 초기에 증상이 경미했고, 모임 성격상 긴밀한 접촉이 아니였기 때문에 대규모 인원에 대한 격리조치는 적절치 않았다“며 ”행사에 참석했던 조합원에는 메르스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이미 밀접접촉자(병원 49명, 가족 3명)에 대해서는 자가격리 및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날 ‘메르스 관련 대시민 발표’를 통해 35번 환자가 메르스 의심 단계에서 심포지엄, 재건축조합총회 등에 참석하며 시민 1500여명 이상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사실을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