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순명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앞줄 왼쪽 첫째)과 진웅섭 금감원장(넷째), 정우택 국회 정무위원장(다섯째), 최현자 한국금융소비자학회장(여섯째), 이종걸 의원(뒷줄 왼쪽 다섯째) 및 관계자들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개최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세미나’에 참가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금융감독원]
국회와 학계 및 소비자단체, 금융회사 소비자보호업무 담당 직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행사는 총 2부에 걸쳐 진행됐다.
1부 주제발표에서는 최현자 한국금융소비자학회장이 사회를 맡아 △현행 금융소비자 보호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금융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금융소비자 보호와 금융회사의 경쟁력 등에 관한 주제 발표를 실시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규복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행 금융소비자 보호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을 주제로 금융민원 자율조정 전치주의 도입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성영애 인천대 교수는 ‘금융소비자의 권리와 책임’이라는 주제를 다뤘다. 성 교수는 금융소비자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금융기관 및 금융소비자 모두가 책임 수행의 주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소비자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금융소비자 권리 실현에 대한 기여라고 말했다.
마지막 주제인 ‘금융소비자보호와 금융회사의 경쟁력’은 주소현 이화여대 교수가 발표를 맡았다. 주 교수는 금융회사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소비자 만족도 제고와 기업 이윤이 비례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소비자보호를 위해 소비자 금융역량과 건전한 소비자책무에 대한 이해가 수반돼야 한다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2부는 종합토론 방식으로 권영준 경희대 교수 등 학계, 금융계 전문가 등이 발표 내용과 관련된 논의를 펼쳤다. 2부 종료 후 참석자들을 위해 따로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하기도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세미나를 통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생산적인 의견이 다양하게 논의됐다”며 “금융소비자와 금융회사가 동반자적 관계로 상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