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새누리당, 대구 서구)은 14일 중기청 국정감사에서 "정작 기술 과제를 따내기만 하고, 사업화로 나가지 않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며, 최근 5년간 중복해서 R&D 지원 과제를 따낸 기업이 20%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소기업 R&D 지원과제 기술개발 성공률은 95%가 넘는다. 하지만 사업화로 나가지 않는 경우가 절반 이상으로 정부 R&D 지원금으로 연명하는 ‘좀비기업'만 배불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최근 5년간 2회 이상 중기청 R&D 과제를 따낸 기업은 19.8%였고, 이중 8회나 집중 지원을 받은 기업은 3군데나 됐다.
참여제한 조치도 개인이 아닌 기업체나 기관에 대해서만 이뤄져 부정사용자가 재창업한 경우 아무런 효력이 없었다.
김상훈 의원은 “R&D과제 심사 및 사후 관리에 대한 당국의 느슨한 대응이 국가 R&D 사업 전반에 걸친 도덕적 해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국민 혈세인 R&D 자금이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R&D 지원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