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업계, 2015년 핫토픽 '저유가의 반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2-27 13: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그림=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유화업계는 올 한해 동안 저유가가 지속되며 산업 경쟁력이 살아나는 반전을 보였다.

북미발 셰일가스의 부흥이 기존 전통 석유가격의 하락으로 지연되면서 석유를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화학산업의 경쟁력이 회복된 것이다.

비전통 석유인 셰일오일을 견제하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자 사우디 등 OPEC 국가들이 원유 생산확대를 통한 저가정책을 고수한 것이 저유가의 장기화를 불러왔다.

여기에 해외 화학설비의 정기보수 일정이 몰리고 일부 공장은 설비 트러블로 가동중단해 국내 화학업체들의 반사이익도 컸다.

‘화학산업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 생산설비(NCC)는 저유가에 따른 원재료값 하락과 정기보수에 따른 공급감소로 이례적인 고마진을 기록했다. 덕분에 NCC를 보유한 SK, LG, 롯데, 한화 등 주요 기업들이 모두 호실적을 거뒀다.

저유가로 석유제품 수요도 증가하면서 정유사들의 정제마진도 강세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유가 폭락으로 적자를 냈던 정유사들은 올해 높은 기저효과로 깜짝 실적을 달성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지난해 2312억원의 영업적자를 봤지만 올해는 3분기까지 1조6729억원에 달하는 영업흑자를 거뒀다.

하지만 유가 전망은 불확실해 이같은 상황은 언제든 다시 반전될 수 있다. 최근 국제유가는 배럴당 20달러까지 내리거나 혹은 100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정제설비 및 화학설비 신증설에 따른 자급력 확대 리스크도 계속됐다. 이에 대비해 국내 업계는 생산설비 고도화, 원료 수급 다변화, 해외 진출, 신사업 확대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했다.

특히 삼성이 화학 계열사를 한화와 롯데에 매각한 것이 큰 화제가 됐다. 삼성은 비주력 사업에 대한 부담을 덜고 한화와 롯데는 기존 주력 사업과의 수직계열화 등을 통한 선택과 집중을 강화했다.

중국 내 공급과잉이 심한 대표적인 제품은 화학섬유 원료인 테레프탈산(TPA)으로, 국내 관련 제조업체들의 구조조정 이슈가 부각됐다. 역으로 TPA 원료인 파라자일렌(PX)은 중국내 사상 최대 규모의 수입이 이뤄져 정유사들의 PX사업은 득을 보기도 했다.

중국의 자급력 확대와 더불어 2018년부터는 북미 지역의 셰일기반 화학 신공장 생산물량이 아시아에 대거 유입돼 공급과잉이 심화될 것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국내 업계는 중장기적으로 고기능성 제품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및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지속 대두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