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국내 600개 기업의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가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에 기준선 100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실시한 BSI 조사 결과, 5월 전망치는 102.3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5월 계절 요인과 4·13 총선 종료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 5월 전망치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데다 4월 실적치(97.3) 역시 작년 5월 이후 12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무르는 등 호조 전망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통상 5월 전망치의 경우 기준치 100을 상회하는 경향이 있는데, 가정의 달 관련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이번 전망치(102.3)도 5월 계절 효과가 반영됐으나 과거 13개년 5월 전망치 평균(106.4)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또한 기업들은 5월 30일부터 개원하는 20대 국회가 경기 회복에 힘을 실어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기업들이 국회가 투자활성화 지원(34.2%)과 규제 완화(24.9%) 등을 통해 경제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97.3)는 여전히 부정적이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101.2), 수출(95.7), 투자(92.8), 자금사정(97.5), 재고(103.3), 고용(97.7), 채산성(97.1) 등 내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부진했다.
송원근 전경련 본부장은 “이번 기업 경기전망은 5월 계절 효과를 고려하면 통상적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12개월 연속 100 아래인 실적치도 우려를 낳게 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송 본부장은 이어 “기업 경기가 실제 호조로 이어지기 위해 20대 국회가 투자 촉진, 규제 완화, 세제 개선 등에 힘써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실시한 BSI 조사 결과, 5월 전망치는 102.3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5월 계절 요인과 4·13 총선 종료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 5월 전망치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데다 4월 실적치(97.3) 역시 작년 5월 이후 12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무르는 등 호조 전망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통상 5월 전망치의 경우 기준치 100을 상회하는 경향이 있는데, 가정의 달 관련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또한 기업들은 5월 30일부터 개원하는 20대 국회가 경기 회복에 힘을 실어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기업들이 국회가 투자활성화 지원(34.2%)과 규제 완화(24.9%) 등을 통해 경제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97.3)는 여전히 부정적이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101.2), 수출(95.7), 투자(92.8), 자금사정(97.5), 재고(103.3), 고용(97.7), 채산성(97.1) 등 내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부진했다.
송원근 전경련 본부장은 “이번 기업 경기전망은 5월 계절 효과를 고려하면 통상적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12개월 연속 100 아래인 실적치도 우려를 낳게 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송 본부장은 이어 “기업 경기가 실제 호조로 이어지기 위해 20대 국회가 투자 촉진, 규제 완화, 세제 개선 등에 힘써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