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의 '8ㆍ9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에 나선 후보들이 지난 25일 오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중앙위원회 전국시도당연합회 월례회 행사에서 손을 맞잡고 공명선거를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병국 의원, 김용태 의원, 주호영 의원, 이정현 의원, 한선교 의원.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막판 변수로 떠올랐던 거물급 후보 2명이 결국 불출마를 선언했다.
남은 변수는 단일화 여부다. 비박(비박근혜)계 후보들을 중심으로 단일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친박(친박근혜) 역시 표 결집을 위한 교통 정리에 나설 전망이다.
그러나 표몰이를 할 만한 후보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부 인사들의 '저울질'로 인해 이번 전대는 변죽만 울리다 끝내 김이 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27일 잇따라 불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저는 이번 새누리당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대한민국과 새누리당의 발전을 위해 백의종군하겠다"고 짤막한 결심을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출마설이 흘러나왔지만, 당내에서는 주류인 친박계와 비박계로부터 모두 비난을 받으며 부정적인 기류가 형성됐다. 대권 도전 행보를 보이다 당권 회귀는 '뜬금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의 불출마 선언은 당 내에서 비난 여론이 거센 데다, 당권과 대권을 분리한 당 규정 탓에 당권 도전에 나서는 순간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이 부담감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당 대표 경선에서 낙선할 경우 정치 생명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가세한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 4선 중진의 홍문종 의원 역시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8.9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 출마의사를 접고 선당후사의 충심으로 백의종군의 길을 선택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석 달이 지나도록 총선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누란지세에 놓인 당의 현실을 바라만 보고 있을 수 없어 이번 전대를 통해 나름의 역할을 찾고자 했으나, 불출마 결단이야말로 당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홍 의원이 이달 초부터 출마 의사를 시사했지만, 8선의 친박 '맏형' 서청원 의원의 추대론이 불거졌다가 끝내 고사하는 과정을 거치며 장고에 들어갔다. 결국 이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친박은 최경환(3선), 서청원 의원 등 당초 표를 모을 인사를 후보로 세워내는 데 실패했다.
이로써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후보자 6명이 백가쟁명의 경쟁을 펼치게 됐다. 7명부터 시작하기로 한 컷오프(예비심사)도 시행하지 않게 됐다. 현재 친박계 후보로 나선 5선의 이주영, 한선교(4선), 이정현(3선) 의원과 비박계 5선 정병국 의원과 김용태(3선), 주호영(4선) 의원이 당권에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다만 막판 후보 단일화를 배제할 수 없어 판세는 안갯속이다.
정 의원과 김 의원, 주 의원 등 비박계 후보 3명은 회동을 통해 단일화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이날도 정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가 가치 실현을 위해 힘을 합칠 때 시너지 효과가 나고 가능하다면 대화를 해볼 수 있다고 보며, 이 부분에 대해 문을 닫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비박 측 후보 단일화가 가시화될 경우 친박 역시 표 분산을 막기 위한 교통 정리에 들어갈 수 있다. 서청원 의원이 이날 친박 인사 50여 명과 대규모 만찬 회동을 여는 것도 이를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