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자는 23일 국회 인사청문특위 위원들에게 보낸 서면 답변서에서 "북한이 핵을 동결하고 그 토대 위에서 협상 테이블로 나오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 동결의 토대 위에서 협상 테이블에 나온다면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금강산관광의 경우 관광객 신변 안전보장 문제가 우선 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며 "제재와 대화 등 모든 수단을 활용해 북한 비핵화를 견인해 나가며 궁극적으로 완전한 핵 폐기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관한 질문에는 "결정 과정을 면밀히 검토하고 한미정상회담과 한중정상회담 결과를 봐가며 후속 절차 추진 문제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사드 비용 청구 논란엔 "사드 비용 분담 문제는 한미 양국 간에 이미 합의가 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미국 측은 사드체계의 전개 및 운영유지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상호 호혜적 성과들을 미국 측에 충분히 설명하고 한미 FTA 재협상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당당하게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서는 "국민 대다수가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정서와 현실을 인정하면서 한·일 양국이 공동으로 노력해서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또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관여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면서도 "미래 한일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가면서 가능한 대응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해선 "엄중한 남북관계 상황을 고려해 정치권과의 협의를 통해 신중하게 결정돼야 할 사안"이라며 "제7조(찬양고무죄) 등 개정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된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