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올해 초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23만 대 이상의 컴퓨터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해킹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했다. 그간 북한이 광범위한 해킹을 시도했다는 주장은 여러 차례 제기됐으나 미국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토머스 보서트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18일(이하 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추적 결과 북한 정부와 연계된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북한을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의 배후로 지목했다.
또 "지난 10여 년간 북한의 악의적인 행동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며 북한의 다각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압박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시사했다고 경제전문매체 포천, 로이터통신 등 외신이 일제히 보도했다.
그동안 미국 안팎에서는 강도 높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북한이 가상화폐 시장이나 주요 네트워크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수차례 나왔다. 전 세계 IT(정보기술) 분야 연구원들도 북한이 해킹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북한의 해킹 개입 사실을 공식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정부는 19일 성명을 통해 관련 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할 전망이다.
악성 코드의 일종인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다. 워너크라이는 MS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겨냥한 랜섬웨어로, 컴퓨터 내 디지털 파일을 암호화한 뒤 비트코인 등으로 몸값을 요구하는 형태다.
지난 5월 시작된 워너크라이 공격으로 영국은 국민보건서비스(NHS) 등 의료체계가 마비되는 등 전 세계 병원과 공공기관들이 피해를 입었다. 북한은 지난 2014년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의혹을 포함,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등 사이버 공격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전면 부정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