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12/20190312081001350213.jpg)
서울 양천구 아파트 전경. [사진= 아주경제DB]
소득이 높은 주택 보유자들은 앞으로 집값 하락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우리은행 부동산연구포럼이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년 9·13대책을 전후해 자가-임차가구의 주택가격 전망 흐름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작년 9·13대책 이전까지는 자가가구의 주택가격 전망지수가 임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집주인들이 임차인보다 주택가격 상승 가능성을 크게 본 것이다.
그러나 9·13대책 발표가 예고된 2018년 8월에 이 지수가 자가가구 108, 임차가구 110을 기록하며 2014년 이후 처음으로 수치가 역전됐다. 이후 지난해 11월 임차가구가 103일 때 자가가구는 99를 기록하며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진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자가 83, 임차 86으로 지수가 낮아졌다.
지난달 기준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의 주택가격 전망지수는 96, 100만∼200만원은 91로 평균 지수(84)를 웃돈 반면, 500만원 이상 소득자는 78로 떨어져 2013년 한은이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00만원 미만 소득자와 500만원 이상 소득자의 전망지수 격차도 지난해 8월 3포인트에 그쳤으나, 9·13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9월 13포인트로 벌어진 뒤 올해 2월에는 18포인트로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정부의 강력한 다주택자 규제와 투기방지 대책이 자가 보유자와 고소득자에게 주로 효과를 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공시가격 현실화 등으로 다주택자, 고가주택 보유자를 압박한 것이 지수 변화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