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박남춘인천시장이 송도 세브란스병원 착공이 지연될 경우 연세대에 병원 예정 부지를 조성원가로 팔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27/20190327100821705275.jpg)
연세대 국제캠퍼스 송도 11공구 [사진=IFEZ]
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 사업은 2005년 1단계 사업 협약 당시에도 포함된 내용이지만 현재까지 지연되고 있다.
인천시와 연세대는 지난해 3월 2단계 사업 협약을 체결하면서 송도국제도시에 500병상 이상 규모의 세브란스병원을 건립하고 바이오 중심의 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 사업은 2020년 착공, 2024년 준공 일정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인천시는 1단계 사업 때 연세대에 캠퍼스 용지로 92만㎡ 땅을 조성원가에 공급한 데 이어, 2단계 사업에서는 연세대 국제캠퍼스 옆 송도 11공구 33만6천㎡ 땅을 조성원가(3.3㎡당 389만원)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관련 박남춘 인천시장은 26일 페이스북에서 "세브란스병원 착공과 추진이 지연될 땐 2단계 전체 부지를 환매할 수 있다는 조건을 토지매매 계약 때 추가 명시할 것"이라며 "더 이상의 지연은 안 된다는 강력한 의사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세대 측에서도 산·학·연·병원의 글로벌 바이오헬스클러스터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송도에 세브란스병원을 건립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용인세브란스 건립이 마무리단계인 만큼 송도 병원을 착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고 있다"며 "세브란스병원 건립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