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29일 군산지엠(GM)공장이 부품업체 컨소시엄에게 인수된 것과 관련해 “재가동 일자를 하루라도 앞당기는 것이 민생참사를 막고 무너지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길”이라고 밝혔다.
군산 출신인 박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군산조선소와 군산지엠의 잇따른 폐쇄로 군산과 전북은 일자리 재난으로 초토화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군산이 최초의 산업위기대응지역으로 지정이 됐으나, 추후 지정된 다른 지역과는 달리 이미 산업이 무너진 상태여서 별다른 산업지원정책이 없었다”면서 “정부는 산업위기대응지역 최초지정에 상응하는 특단의 대책을 이번 기회에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대변인은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추가경정예산에서 최우선적으로 군산회생 관련 예산이 들어가야 한다”면서 “일반 예산을 추경에 끼워 넣는 관행과는 달리 군산지엠 회생관련 예산은 추경의 요건에 가장 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청와대와 산업은행은 군산을 희생시킨 것에 대한 각별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군산문제해결에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한다”면서 “수십년 간 차별을 받아 온 낙후지역의 일자리 재난을 해결하는 것이 곧 최고의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지엠과 현대차 1차 협력업체인 엠에스오토텍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이날 오전 비공개로 군산공장 매각과 관련한 주요 거래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
군산 출신인 박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군산조선소와 군산지엠의 잇따른 폐쇄로 군산과 전북은 일자리 재난으로 초토화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군산이 최초의 산업위기대응지역으로 지정이 됐으나, 추후 지정된 다른 지역과는 달리 이미 산업이 무너진 상태여서 별다른 산업지원정책이 없었다”면서 “정부는 산업위기대응지역 최초지정에 상응하는 특단의 대책을 이번 기회에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대변인은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추가경정예산에서 최우선적으로 군산회생 관련 예산이 들어가야 한다”면서 “일반 예산을 추경에 끼워 넣는 관행과는 달리 군산지엠 회생관련 예산은 추경의 요건에 가장 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지엠과 현대차 1차 협력업체인 엠에스오토텍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이날 오전 비공개로 군산공장 매각과 관련한 주요 거래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29/20190329162914217113.jpg)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이 지난해 10월 23일 오전 강원 춘천시 강원도청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