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5/07/20190507152649601793.jpg)
3기 신도시 위치도. [제공=국토교통부]
경기 고양시 창릉지구(813만㎡, 3만8000가구)와 부천시 대장지구(343만㎡, 2만 가구)에 총 5만8000가구 규모의 3기 신도시가 추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도권 주택 30만 가구 공급안-제3차 신규택지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신규택지는 28곳으로, 서울 도심까지 30분 내 출퇴근이 가능한 330만㎡ 이상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정부가 목표로 한 30만 가구 중 11만 가구를 품는다.
우선 새 신도시 입지는 고양 창릉, 부천 대장으로 결정됐다. 중소 규모 택지의 경우, 서울은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200가구), 창동역 복합환승센터(300가구), 왕십리역 철도부지(300가구) 등에 1만 가구의 주택이 들어선다. 경기권에서는 안산 장상지구(1만3000가구), 용인 구성역(1만1000가구), 안양 인덕원(800가구) 등에 4만2000가구가 공급된다.
중소 규모 택지는 2020년부터, 신도시는 2022년부터 각각 입주자 모집(분양)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문기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연내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지구 계획을 수립, 내년 이후 토지 보상에 착수할 계획"이라며 "신도시 조성에 반발하는 지역주민들과 원만하게 소통 중"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앞서 지난해 9월(3만5000가구), 12월(15만5000가구)에는 총 58개 신규택지에 19만 가구 공급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남양주 왕숙지구(6만6000가구), 하남 교산지구(3만2000가구), 인천 계양지구(1만7000가구), 과천지구(7000가구) 등이 3기 신도시로 선정됐다.
3기 신도시 조성은 수도권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것으로, 기존 1·2기 신도시와 마찬가지로 서울 접근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관건은 입주 시기에 맞춘 광역교통망 구축과 자족도시로서의 기능이다.
이에 국토부는 지구 지정 제안 단계부터 지하철 연장, S(Super)-BRT 등 교통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새절역(6호선·서부선)부터 고양시청까지 14.5㎞ 길이로 신설되는 지하철 '고양선(가칭)'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신도시 교통대책은 지구계획 수립단계에 만들어졌는데 이를 2년 정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최기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은 "가장 늦게 입주하는 분들의 입주 시점과 대중교통 공급 시점을 최대한 일치시킬 것"이라며 "관계기관, 지자체, 전문가와 충분한 사전 협의를 거쳐 내실 있는, 포용적인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또 신도시 개발 방향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도시 △자녀 키우기 좋고 친환경적인 도시 △전문가와 지자체가 함께 만드는 도시'를 강조했다. 기존 신도시 대비 2배 수준의 자족용지를 확보해 기업지원 허브, 창업지원 주택 등을 건설하고, 모든 아파트 단지에 국공립 어린이집을 설치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김현미 장관은 "새로 입주하는 분들과 기존에 살고 계신 분들이 함꼐 행복한 신도시를 만들겠다"며 "수요-공급 균형 관리로 실수요자 위주의 주택시장을 보다 공고히 하고, 수도권 30만 가구 주택 공급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발표 현장에 동석한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이재준 고양시장, 장덕천 부천시장은 신도시 조성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재준 시장은 "고양시는 그린벨트법과 불편한 교통 등으로 베드타운으로 전락해 기업 유치가 어렵고 기존에 있던 기업마저 외부로 빠져나가고 있다"며 "고양선이 운행되면 고양시민 주거 질이 높아지고, 새로운 기업이 들어올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