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국내공급은 국산·수입이 모두 줄어 전년 동기 대비 4.1% 줄었다. 제조업 생산·투자 부진이 제조업 공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반도체 업종에 설비투자가 좋았다가 올해 기저효과가 나타난 원인으로 분석된다. [자료=통계청]
제조업 생산·투자 부진이 제조업 공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반도체 업종에 설비투자가 좋았다가 올해 기저효과가 나타난 원인으로 분석된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국내공급은 국산·수입이 모두 줄어 전년 동기 대비 4.1%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작년 3분기(-5.4%)에 이어 두 번째로 제조업 국내공급량이 전년 대비 많이 줄어든 것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올해 1분기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올해 1분기 국산은 기계장비, 기타운송장비 등이 줄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 줄었고 수입은 기계장비, 석유정제 등이 줄어들어 4.3% 감소했다.
국산은 2017년 4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다 지난 분기 1.6%로 반짝 상승했으나 올해 1분기에 다시 하락 전환했다. 수입도 작년 4분기 7.1% 증가한 지 1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재별로 보면 최종재는 10.2% 감소했다. 소비재(-0.8%)와 자본재(-23.3%)가 모두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자본재는 2010년 통계 작성 이후 분기별 역대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소비재는 휴대용 전화기, 중형승용차 등이 줄어서, 자본재는 특수선박(비상업용), 웨이퍼가공장비 등이 줄어 각각 감소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다만 D램, 자동차부품 등 중간재는 0.2%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타운송장비는 1년 전보다 43.5% 감소했고 기계장비도 20.2% 줄었으나 1차금속(1.9%)은 증가했다.
제조업 국내 공급 중 수입의 비중은 26.3%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올라갔다.
최종재의 수입점유비율은 28.4%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으나, 중간재의 수입점유비율은 24.9%로 0.1%포인트 내렸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종의 대규모 투자가 마무리된 이후 기저효과로 설비투자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