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여야 3당이 새 원내대표들을 중심으로 자유한국당과 함께 추경 등 민생 법안 처리에 나설지 주목된다. 1월부터 4월까지 사실상 국회가 멈춘 가운데 여야가 협치를 토대로 ‘5월 임시국회’를 열고 산적한 민생 법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평화당과 바른미래당은 각각 13일, 15일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평화당 원내대표 경선은 3선의 유성엽 의원과 재선의 황주홍 의원 간 대결로 펼쳐진다. 앞서 평화당은 합의추대를 통해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려고 했지만, 당내 조율에 실패하면서 결국 경선을 통해 원내대표를 뽑게 됐다.
반면, 황 의원은 단기적 목표로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내세웠다. 교섭단체가 되면 △정당 보조금 △상임위 간사 등의 혜택을 얻게 된다. 황 의원은 교섭단체를 구성해 당에 활력을 불어넣고 제3신당 창당 등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바른미래당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지도부계’와 ‘바른정당계’의 대리전 양상이다. 현재 공식적으로 출마의사를 밝힌 김성식 의원은 국민의당 출신으로 안철수계로 꼽힌다. 또 손학규 대표가 경기도지사 시절 정무부지사를 지낸 이력으로 손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는 이번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정개특위 간사로서 ‘선거제 개편안’에 찬성표를 던지면서 바른미래당 지도부에 우호적인 자세를 취했다.
김 의원의 경쟁자로는 바른정당계 오신환 의원이 꼽힌다. 오 의원은 사개특위 간사로 활동했지만, 당 지도부와 각을 세우면서 사임됐다. 특히 바른정당계는 수싸움에 밀려 패스트트랙을 저지하지 못한 만큼 오 의원을 내세워 짧게는 패스트트랙, 길게는 내년 총선 국면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바른미래당은 김관영 원내대표가 사퇴하면서 ‘당대당 통합이나 연대는 없다’고 못 박았기 때문에 바른정당계와 현 지도부의 ‘불편한 동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국회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