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이자 더 준다는데 '무늬만 특판' 지적, 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대웅 기자
입력 2019-07-25 14: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든 가운데 고금리 특판을 진행한 금융회사들이 고객 불만의 표적이 되고 있다. 고금리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납입 한도가 크게 낮은 탓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전날 진행한 '이자 2배' 이벤트를 통해 '26주 적금' 44만5266좌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 1년 동안 가입된 계좌수(273만5000좌)의 16%에 해당한다.

26주 적금은 최고 연 2.0% 금리를 적용하는데, 이번 이벤트로 연 4.0%의 이자 혜택을 제공하며 인기를 끌었다.

금리 인하기에 고금리 특판이 반가울 법도 하지만 높은 이자를 기대하고 상품에 가입한 고객들은 오히려 카카오뱅크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고객 감사 이벤트로 진행한 특판에서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최대 이자가 1만950여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차에는 한 달 동안 100만원가량을 납입해야 돼 이자 지급 조건을 달성하기도 어렵다.

앞서 이달 초 SBI저축은행이 내놓은 '사이다 자유적금'도 사정은 비슷하다.

최대 연 10.0% 금리를 적용해 100억원 특판 한도가 2시간 만에 완판됐지만, 납입 한도를 월 10만원으로 제한해 이자 혜택은 최대 5만4990원 수준이다. '무늬만 고금리 특판'인 셈이다.

이 때문에 높은 이자 혜택을 준다는 '특별판매'의 의미는 퇴색되고, 고금리 혜택의 조건을 까다롭게 설정해 고객만 묶어두려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웰컴저축은행이 오는 29일 진행하는 특판은 최대 연 6.0% 금리를 적용하지만, 신규가입일부터 만기일 전까지 웰컴 자유입출금통장의 평균 잔액을 50만원 이상 유지해야 한다. 다만 웰컴저축은행 측은 자유입출금통장의 금리가 연 1.7~2.5%로 금융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어서 고객이 받는 불이익은 적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금이 아닌 적금을 대상으로 낮은 납입 한도로 특판을 진행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이자 비용으로 신규 고객을 수월히 모집하는 좋은 방법"이라면서도 "최근의 고금리 특판을 보면 고객 혜택보단 모바일 앱 설치를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객 정보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더 강해 오히려 소비자 반발이 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뱅크가 지난 24일 진행한 '26주 적금 이자 2배' 이벤트. [사진=카카오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