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
최근 북측이 한미연합훈련을 이유로 정부를 비난하면서 민간차원의 접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3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에서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응답하지 않고 있으며 민간차원의 접촉도 감소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월평균 북한 주민 접촉수리 건수는 2018년 10월∼올해 2월 71.4건이었으나, 하노이 북미정상회담(2월 27∼28일) 직후인 3월부터 7월 사이에는 49.4건으로 감소했다.
북한은 선전매체를 통해 남북공동선언 철저한 이행을 촉구하고 있으며 대남 비판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지난 23일에는 신규 잠수함 건조를 공개했으며, 이달 26일에는 지난 5월 단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78일만에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또 발사했다. 또 다음달 5~20일 예정된 한미연합훈련과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에 대해서도 비난했다.
통일부는 "기존 남북관계 기본 방향 및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면서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대북 메시지를 지속 전달하고 있다"면서 "북미 실무협상의 조속한 재개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이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정부의 대북식량계획에 대해 '수령 거부' 의사를 실무선에서 밝힌 것 관련해서는 "우선 북측의 공식입장 확인에 주력하고 이후 관련 절차를 검토·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북한에 억류된 한국인 선원들의 귀환 및 북한 목선에 탄 선원에 대한 송환 조치 등을 언급하며 남북 간 인도주의적 협력은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을 계기로 주요국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평화정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회와 협력을 강화해 대북정책에 대한 초당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