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내달 지방재정투자사업 중앙심사 의뢰와 9월 문화체육관광부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 검토 의뢰 등을 거쳐 오는 2022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본격화 한다.
구는 29일 영상회의실에서 인천대 산학협력단과 고남석 연수구청장 등 구 관계자, 구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송도국제도시 내 연수구 대표도서관 건립 타당성검토 최종 용역보고회를 개최했다.

송도국제도시 내 연수구 대표도서관 건립 타당성검토 최종 용역보고회[사진=인천시 연수구]
연수구 전체 인구의 41%를 차지하는 송도지역의 열악한 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표도서관 건립과 국내외 사례에 비추어 지역 특성에 맞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이다.
이날 보고에 따르면 송도지역은 구가 운영 중인 7개 공공도서관 중 소규모 도서관 3곳만 위치하고 있어 전국평균 1인당 장서수 2.15권에 비해 0.88권(원도심 1.53권)으로 도서관 건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따라 구는 지난 3월 토지주인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와 가격협상 끝에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이 곳에 연수구 대표도서관이자 복합문화공간을 겸한 랜드마크 도서관의 건립을 추진해 왔다.
특히 2022년까지 인구 4만3000명당 1개 도서관을 확충한다는 정부의 생활 SOC 3개년 계획에 따라 대부분 소규모 도서관에 주민 4만9000명당 1개관에 불과해 지역 내 공공도서관 건립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구는 9427㎡ 부지에 본관 1층을 어린이자료, 카페테리아, 커뮤니티공간, 2층을 개방형열람공간과 종합자료이용공간, 3층을 디지털자료실 메이커스페이스, 프로그램실 등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또 4층을 강당과 다목적실, 사무실, 휴게실로 꾸미는 등 본관을 지하1층 지상4층 규모로 건립하고 별관에도 전시이벤트실, 디지털미디어 체험영상실, 열람실, 옥상정원 등이 들어선다.
한편 용역 설문조사 결과 구민이 희망하는 도서관 부가기능으로 ▲공연‧영화(60.6%), ▲카페‧식당(44.2%), ▲전시시설(27.6%)을 원했고 중요시설로는 ▲문화예술(51.7%), ▲커뮤니티(38.9%), ▲체험(32.1%) 순으로 꼽았다.
연수구 관계자는 “연수구는 시설에 비해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 욕구가 어느 곳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도서관 운영과 트랜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주민들이 원하는 미래지향적 대표도서관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