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리에는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동경 경기도자동차정비조합 이사장(위원장)을 비롯해 정비업, 부품판매업, 범퍼수리업 등 자동차서비스산업 관련 중소기업단체 대표 11명이 참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10/20190910145040344368.jpg)
[사진=중소기업중앙회]
한 위원은 "자동차서비스업은 ‘완성차 제조업-자동차서비스업-보험업’으로 이어지는 자동차산업 가치사슬구조에서 중요한 중간다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이라면서도 "대부분 영세기업들로 구성돼 있어 전·후방산업 대기업들과의 거래에서 불공정한 관행 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이 많다"고 아쉬움을 밝혔다.
김동경 중소기업중앙회 자동차서비스산업위원장은 “혁신성장을 위한 변화의 움직임은 전통산업에서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고 이를 위해 정비업계는 기술인력 양성, 민간자격 교육 강화 등 자체적인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이 지속되고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먼저 자동차산업 전반에서 공정경제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중소기업중앙회는 산업별 주요현안을 발굴하여 이를 위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24개 산업·특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며 "자동차서비스산업위원회는 자동차서비스업계의 현안을 보다 전문적이고 세밀하게 다루기 위해 새롭게 출범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서비스산업위원회는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취임 이후 신설된 위원회로, 지난 6월 출범이후 매달 위원회(위원회3회, 실무위원회1회)를 개최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