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와 수사권 조정, 선거법 패스트트랙 등으로 여야대립이 격화된 상황이어서 인사청문회 개최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인사청문 요구서를 국회가 접수한 뒤 20일이 지나면 인사청문회 없이도 임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이 경우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법무부 장관직이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사퇴한 지 석달여가 지난 시점쯤이다.
추 장관 후보자가 취임하면 곧바로 검찰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인사청문회와 장관 취임 절차, 1월말인 설날 등을 감안하면 2월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인사수요도 충분하다. 윤석열 검찰총장 취임 후 단행된 지난해 8월 정기인사에서 비워둔 검사장급 직책 6석을 채워야하고 법무부의 ‘비검찰화’에 따라 기획조정실장 등 검찰청으로 복귀하게 될 인력도 상당수다.
법조계에서는 윤석열 검찰총장의 핵심측근들이 대거 인사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다수의 검사장 공석과 법무부 비검찰화 등 기본적인 인사수요도 있지만 최근 검찰의 ‘반 문재인’ 행보를 신임 장관이 그냥 앉아서 지켜볼 리 없다는 점 때문이다.
한동훈 대검 반부패강력부장(47·사법연수원 27기), 배성범 서울중앙지검장(57·23기), 조남관 서울동부지검장(54, 24기)이 우선 대상자로 거론된다.
한동훈 검사장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족에 대한 수사를 비롯해 문재인 정권을 정면으로 겨냥한 여러 사건수사를 지휘하고 있고, 배성범 중앙지검장은 조 전 장관 사건과 ‘울산 하명수사 의혹’ 등을 관할하고 있다. 조남관 동부지검장은 ‘유재수 감찰중단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이 밖에 송경호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 고형곤 중앙지검 반부패2부장 등도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은 물론 법조계에서도 최소한 한 검사장은 인사태풍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검찰이 수사가 아니라 정치를 하고 있다”면서 “윤석열 총장을 제외하면 그 핵심에 한동훈 검사장이 있다”라고 꼭 집어서 말했다.
다만, 국정농단 수사와 MB수사, 사법농단 수사 등에서 보여준 활약상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내치지는 못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지방으로 전보되더라도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주요 검찰청이나 춘천, 청주 등 선호도가 높은 지방검찰청에 배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검찰은 결사항전 의지를 다지고 있다. '좌천을 당하더라도 수사를 하겠다'는 다짐이 오가는 분위기도 읽힌다.
한편 추 장관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검찰개혁과 사법개혁은 시대적 요구"라면서 "대통령과 함께 국민께 약속드렸다고 약속을 지키기 위해 많은 저항에 부딪히게 되며 그 길이 매우 험난하다는 건 국민들도 알고 있다"고 말해 저항을 정면돌파할 것임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