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이낙연 총리, 당 복귀 가시화…향후 행보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19-12-17 16: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총선서 ‘다목적 카드’로 활용될 듯

  • 종로구 출마·선대위원장 등 가능성

‘정치인’ 이낙연 국무총리의 당 복귀가 가시화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차기 국무총리 후보자로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지명하면서다.

이 총리는 재임 기간 안정적인 국정 운영으로 문 대통령의 신뢰 속에 2년 6개월 이상 재임하며 ‘최장수 국무총리’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 총리는 지난 10월 28일을 기점으로는 ‘재임 881일’을 채우며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수 국무총리가 됐다.

그는 ‘현직 국무총리’로서는 이례적으로 각종 대선 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20%를 넘는 지지율을 유지하며 장기간 1위를 지켜왔다.

문 대통령도 이날 향후 정치행보 대해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낙연 총리님이 내각을 떠나는 것이 저로서는 매우 아쉽지만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신망을 받고 있는 만큼, 이제 자신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놓아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에 복귀한 뒤 내년 총선에서 역할을 맡을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자신의 역량을 입증한 만큼 ‘다목적 필승카드’로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이 총리가 정 후보자의 현재 지역구이자, ‘정치 1번지’인 서울 종로에 출마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성사될 경우, 일종의 ‘맞트레이드’가 되는 셈이다.

만약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에서 황교안 대표가 출마하게 되면 종로에서 전·현 국무총리의 ‘빅매치’가 성사된다.

같은 당 추미애 의원이 법무장관으로 내정됨에 따라 공석이 되는 서울 광진을에 출마해 한국당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대결하는 구도나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지역구의 세종시 출마도 거론된다. 다만 이들 지역구는 정치적인 상징성면에서 종로에 비해 떨어진다는 평가다.

지역구 출마 대신 선대위원장을 맡아 전국 선거에 바람을 일으키는 시나리오도 있다.

변수는 정 후보자의 국회 인준 과정이다. 국무총리는 장관들과 달리 국회 재적의원의 과반수 동의를 얻어야 인준될 수 있다.

지역구 출마를 위한 공직자 사퇴 시한인 1월 16일 이전에 정 후보자의 국회 인준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총리 자리를 공석으로 두지 않는 한 이 총리의 지역구 출마 여부는 불가능하다.

이 총리가 시한 내에 총리직을 그만두고 경제부총리의 총리 대행체제를 통해 후임 총리 인준 과정을 마무리하는 경우의 수도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7일 서울 송파구 가락농수산시장에서 전기화물차 1호 완성차 전달식에 앞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