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정확한 팩트체크] 대통령-여야 대표 회담...통합당이 거부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승훈 기자
입력 2020-08-18 11: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靑, 김종인 위원장에 재차 초청 의사 밝혀

  • 통합당 "국면 전환 쇼에 따를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이른바 ‘청와대 회동’(영수 회담)이 불발됐다. 청와대가 회동 불발 책임을 미래통합당에 물은 가운데 통합당은 “청와대의 공식 요청이 없었다”고 반박했다. 

①‘대통령-여야 대표 회동’ 언제 추진했나?

최 정무수석은 17일 브리핑을 통해 “8월에 당 대표를 초청해 국정 전반에 대해 의제에 구애받지 않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강기정 전 정무수석이 실무적으로 협의했고, 제가 13일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예방해 재차 대통령의 초청 의사를 밝혔다”고 했다.

청와대는 이번 제안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분기에 1회 개최한다’는 기존 합의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월과 5월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대화를 한 바 있다. 이번 회동 추진은 부동산 사태 논란, 대통령·민주당 지지율 하락, 코로나19 재확산 분위기 등 악재가 겹치는 상황에서 야당에 초당적 협력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②통합당 “청와대는 공식 제안한 적이 없다”

김은혜 통합당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청와대는 회담을 공식 제안한 적이 없다”며 “빈말로 지나가듯 언저리에 던져놓고, 마치 저희가 거부해서 성사가 안 된 것처럼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문 대통령의 여야 회동에서 국민 삶이 나아진 적이 있느냐”며 “단 한 번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21대 국회 들어서서 법제사법위원장 강탈·의회 독식 등 청와대하고 싶은 대로 다 하더니 이제 와서 돌변해 ‘회담하자’ 팔을 비튼다”며 “힘으로 밀어붙이는 데 익숙해지더니 대화마저 강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면 전환 쇼에 무턱대고 따르라 하면 저희는 따를 수 없다”며 “무례하다”고 덧붙였다.

③회동 제안 ‘빈말’인가 ‘공식 제안’인가?

양 측의 입장을 종합하면 두 가지 팩트가 드러난다. 청와대의 회동 제안과 통합당의 거절이다. 문제는 회동 제안의 형식이다. 청와대는 ‘공식 제안’이란 입장인 반면, 통합당은 ‘빈말’이란 주장이다.

김은혜 통합당 대변인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공식 제안 형식’과 관련해 “공식제안이라고 하는 건 이렇게 지나가면서 하지 않는다”면서 “청와대마다 성격이 다르지만, 공통적인 것은 보통 대통령의 뜻을 가지고 ‘저희가 영수 회담을 제안합니다’라고 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친전’을 가지고 오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통 (영수 회담) 참석 여부를 정하고 참석한다면, 의제를 조율하고, 의제를 조율한 후에 참석자 여부, 회동 시기를 정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했다.

‘청와대가 21일로 회동 일자를 정해놓고 회동을 제안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21일로 청와대가 제안을) 했는지 안 했는지 모르지만, 보통은 그렇게 안 한다”며 “안 오면 ‘협치 알리바이 된 거야’ ‘너희는 발목 잡는 야당이야’란 식으로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 브리핑.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이 17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정당 대표 대화 등 국회와의 소통 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