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산업계 생존전략은 디지털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0-08-20 17: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산업 디지털 혁신을 통해 세계 4대 산업강국 도약 목표

  • 데이터활용 벨류체인 고도화 및 인프라 조성 혁신 추진

  • 산업 지능화 펀드 4000억원 조성 및 인력 육성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 등 산업 생태계의 패러다임이 바뀌자 정부는 이를 돌파하기 위해 산업 전반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 카드를 꺼내 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개최된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의 골자는 비대면 경제의 활성화와 이를 뒷받침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다.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했다. 각각 △적시·적절한 데이터 확보 지원 △데이터·인공지능(AI) 활용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 등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우선 2025년까지 10대 주력산업 분야에서 업종별 특성 등을 고려한 문제 해결형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30개 구축한다. 플랫폼에서는 업계 수요 기반의 디지털 전환 과제 도출, 데이터 확보, 솔루션 개발, 활용체계 구축 등 가치사슬을 이어가도록 구축한다.

표준·특허 등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에 활력도 불어넣는다. 이를 통해 AI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 신비즈니스 창출을 촉진한다. 참조표준데이터를 개발하고 참조표준센터는 100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자율주행차, 로봇 배달, 스마트홈, 자율형 선박 등 신규 서비스 창출이 유망한 제조업 전략 분야를 발굴해 연구개발(R&D)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대규모 통합 R&D는 20% 이상 추진한다.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소재 부문에서 생산공정을 혁신한다. 자율주행차, 지능형 가전, 서비스 로봇과 같은 지능형 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고객 맞춤형 제조 및 재고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유통·물류 시스템을 구축한다. 아울러 수출입 거래, 해외시장, 바이어 등에 관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무역 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정부는 이러한 사업들이 잘 추진되도록 4000억원 규모의 산업 지능화 펀드를 조성한다. 자금은 선도기업에 60% 이상 투입된다.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디지털 기반의 산업 혁신성장 촉진법을 제정하거나 혹은 산업융합 촉진법 개정 등 법령 검토에 나선다.

데이터·AI 활용에 필수적인 지능형 반도체, 스마트센서, 임베디드AI, 융합로봇 등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석·박사급 산업 데이터·AI 전문인력을 1만6000명 육성한다.

해외 데이터의 수집·활용을 확대하고 데이터 기반 신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디지털 통상협정(DPA)도 본격화한다. 아세안시장 진출의 교두보인 싱가포르와 우선 추진하고 중견국 위주의 디지털 블록 형성을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밸류체인을 혁신하고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함으로써 세계 4대 산업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왼쪽)이 20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결과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