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몽골, 핀란드, EU, 코스타리카, 이스라엘, 케냐, 니카라과, 오스트레일리아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을 마치고 정의용 외교부 장관, 참석 대사 등과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을 마치고 환담을 나누며 “올해는 남북이 유엔에 동시 가입한 지 30년 되는 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신임장 제정식에는 EU(유럽연합), 호주, 몽골, 이스라엘, 핀란드, 코스타리카, 케냐, 니카라과 등 8명의 주한대사들이 참석했다.
신임장 제정식은 파견국의 국가 원수가 신임 대사에게 권한 위임을 의미하는 신임장을 주재국 정상에게 전달하는 행사다.
아울러 “2021년은 우리 모두에게 코로나 극복의 해가 될 것”이라면서 “극복은 단순한 과거로의 복귀가 아닌, 포용적인 회복이어야 하고 다른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 극복을 위해서도 포용적인 회복을 위해서도 국제사회의 긴밀한 협력과 연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이의 서면 브리핑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신임 대사의 인사말을 들은 후 일일이 한 명씩 답변을 했다.
문 대통령은 남스라이 에르덴토야 주한몽골 대사의 몽골 초청에 대해 “감사하다. 코로나 상황을 봐가면서 외교채널 간 협의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EU 대사에게는 한국과 EU의 그린 뉴딜과 그린딜이 가치와 철학과 정책 측면에서 유사점이 많은 만큼 관련 협력 심화의 뜻을 전했다.
아키바 토르 주한이스라엘 대사에게는 “코로나 백신 접종에서 가장 모범이 되고 있음을 축하한다”면서 코로나 극복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몽골 외에 이스라엘, 호주 대사도 문 대통령의 방문을 요청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초청해 주셔서 감사하다”면서 “외교채널 간 협의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