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코로나19] 정부 "백신 부작용, 한국만 심할 이유 없다…전문가 의견 듣고 보도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환욱 기자
입력 2021-05-06 14: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백신 접종과 사망 간 인과성 중요"

 

지난 3일 오전 서울 용산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화이자 백신 분주작업을 하고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인과 관계가 규명되지 않은 사망 사례를 백신 접종과 연관 짓는 것은 국민 불안만 가중시킨다며 언론에 주의를 당부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6일 비대면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부작용이 심할 이유가 없고 전문가들이 검증하면서 인과성을 밝히고 있어 너무 불안해할 문제는 아니"라며 "국민께선 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시고, 언론도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는 기사보다는 전문가들이 의견을 듣고 보도할지를 결정해 달라"고 밝혔다.

정부는 예방접종 이전 사망 통계를 제시하며 예방접종으로 인한 초과 사망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낮다는 점을 강조했다.

손 반장은 "지난해 사망 통계를 놓고 분석하면 하루에 847명 정도가 사망했고 이 중 65세 이상이 하루에 661명"이라며 "심장질환이 하루 101명, 뇌혈관 질환이 하루 59명 정도 평균적으로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에 대해 단순히 시차 순으로 백신을 맞고 몇 시간, 며칠 뒤 사망했다거나 중증질환이 발생했다는 식으로 발표되면 사망자나 중증질환자가 안 나올 수가 없는데, 백신 접종이 고령층에 집중하게 되면 단순 사망 발생 통계와 비교해도 수십, 수백 명까지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손 반장은 지난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사례를 예로 들며 "지난해 겨울철 계절 독감에서도 이런 기조가 만들어지면서 한두 건 들어오던 사망 의심 신고도 110건 이상 늘었는데 인과성이 있다고 판단된 것은 한 건도 없다"며 "인과성이 상당히 중요한데, 발생 뉴스는 번갈아 가면서 나오지만 인과성 판정은 2주 뒤에 나와 고민스러운 지점이 생긴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내에서 사용 중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등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이미 전 세계적으로 허가가 나와 사용 중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전문가의 판단을 기다려 줄 것을 당부했다.

손 반장은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에서 2100만여명이 맞았고 유럽 각국에서도 접종한다”면서 “화이자도 이스라엘 등 각국에서 충분히 접종하는 상황을 보며 큰 문제가 없다고 확인해 우리나라도 접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