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07/20210907191518482000.jpg)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앞두고 지난 8월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관련 민간단체와의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 7월 국민청원에는 여성부가 정치편향적이고 성별갈등을 조장해 남녀평등을 가로막는다며 여성부 해체를 주장하는 청원이 제기됐다. 반대로 양성평등과 여성 권익 증진 등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여성부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청원도 제기됐고 각각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류근혁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은 답변에서 “여성부 강화 및 해체 청원은 정부조직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 개진이고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는 청원”이라며 “정책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소통을 강화하고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해 보다 세밀하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류 비서관은 “지난 2001년 여성에 대한 차별과 불균형을 시정하고 여성의 권익과 지위 향상을 위해 여성부로 출범했다”면서 “여성, 청소년,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등 우리 공동체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포용적 사회환경을 만드는 것이 여성부에 주어진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류 비서관은 “이런 견해차가 극한 갈등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오히려 사회적 논의를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