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1/21/20211121203513737529.jpg)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열린 2021 국민과의 대화 '일상으로'에서 국민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영등포 KBS 스튜디오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2021 국민과의 대화-일상으로’에서 국민패널의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로서는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 잘했다’라고 만회할 수 있는 그런 시간이 없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다음 정부에 까지 어려움이 넘어가지 않도록 해결의 실마리는 확실히 임기 마지막까지 찾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문제는 제가 여러 차례 송구스럽다는 사과 말씀을 드렸다”면서 “지금 지나고 생각해보면, 우리가 좀 더 부동산 특히 ‘주택공급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면 좋았겠다’라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지금은 일단 우리 정부 기간 동안 역대 어느 정부보다 입주 물량이 많았고 인허가 물량도 많다”면서 “앞으로 계획되고 있는 물량도 많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는 공급 문제가 충분히 해소되리라고 생각한다”면서 “거기에 힘입어서 지금은 부동산 가격도 상당히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동산 문제 때문에, 서민들에게 직접 피해가 갈 뿐만 아니라 상대적 박탈감 아주 크다”고 전했다.
특히 “근래에 부동산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생긴다”면서 “불로소득이라든지, 초과이익을 환수할 수 있는 대책, 그리고 또 그런 민간업자들이 과다한 이익을 누리지 못하게 하는 그런 여러가지 대책들을 정부가 집중적으로 검토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또 관련 법안들도 국회에 제출돼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최근 요소수 품귀 사태와 관련해 “우리가 보다 문제를 일찍 파악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있다”면서도 “문제 파악 이후 기민하게 대응해 거의 해소됐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전략물자의 경우는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수급을 관리하지만, 요수수의 경우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도 과거에 만들어 왔었던 것이고, 중국에 의존도가 높았던 것이 문제였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