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김동연 경기도지사, 콜린 크룩스 영국대사 만나 교류협력 방안 논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차우열 기자
입력 2022-07-27 16: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 지사, "경기도와 영국과 자매결연 등 다양한 교류 희망" 전달

  • 도 농기원, '농업인 정보화 경진대회' 개최... 온라인 마케팅 강화

김동연 경기도지사(우)가 27일 오전 경기도청 도지사 집무실에서 콜린 크룩스(좌) 주한 영국대사를 접견하고 환담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 영국대사와 만나 도와 영국 간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경기도청에서 콜린 크룩스 영국대사와 만난 자리에서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분야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선도적인 국가가 영국”이라면서 “현재 경기도와 자매결연을 한 지역이 영국에는 없는데 기후변화 위기에 잘 대응하는 지역과 교류를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기후변화 문제는 어떤 특정한 나라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협력해야 할 문제”라며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영국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크룩스 대사는 이에 대해 “도시지역과 구체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더 낫겠다고 생각한다”며 “영국을 방문하신다면 풍력산업이 잘 발달해 있는 런던이나 잉글랜드 동북부 지역을 권한다”고 했다.

크룩스 대사는 그러면서 “기후변화에 대해서 구체적인 제안을 드리겠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은 이날 여성과 인구위기, 세계 정세와 남북관계, 경제위기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27일 오전 경기도청 도지사 집무실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우)가 콜린 크룩스(좌) 주한 영국대사를 만나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경기도]

크룩스 대사는 지난 2월 한국 부임 전 주북한 영국대사로 근무했으며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주한 영국 대사관에서 서기관으로 일하며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방한 시 총괄 실무를 담당한 바 있는 한반도 전문가로 통한다.

이날 만남은 김 지사에게 취임 축하 인사를 하고 싶다는 크룩스 대사의 제안으로 이뤄졌으며 도는 이번 만남이 도와 영국 간 새로운 교류를 시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도는 1995~1997년 영국 북잉글랜드 자치단체연합(뉴캐슬 시 주변 5개 자치주의 연합체)과 경제협력의향서, 자매결연, 공무원 파견 등 활발한 상호교류를 이어갔으나 2009년 북잉글랜드 자치단체연합이 해체된 이후 영국 지역과 교류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경진대회 수상작 메타버스 전시와 시연, 농튜버 토크쇼, 온라인 판매 농산물 전시 등

 ‘농업인 정보화 경진대회’ 모습 [사진=경기도]

한편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이날 농업인들의 온라인 마케팅 역량 강화와 기술 활용 촉진, 온라인 판매 우수사례 공유를 위한 ‘농업인 정보화 경진대회’를 열었다.

이번 대회는 사이버농업인연구회원, 경기도정보화농업인, 관계 공무원 등 8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경기도농업기술원 정보화교육장과 농업과학교육관 강당에서 진행됐다.

이날 정보화 경진대회는 지난 14일과 15일 치러진 사전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분야별 수상작 전시와 우수사례 발표, 농산물 전시 등으로 진행됐다.

수상작들은 △온라인 판매 상세 페이지 제작(제품소개 디자인) △농산물 판매 라이브 방송(방송용 콘텐츠) △유튜브 콘텐츠(농산물 소개 유튜브 방송콘텐츠) △시·군별 연구회 활동 △스마트팜(smart farm) 등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사례 5개 분야 우수작 12개다.

농기원은 이들 12개 작품을 인터넷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해 대회 현장에 참석한 농업인들이 직접 접속해 관람하고, 메타버스의 기본적인 기능도 체험해 볼 수 있게 했다.

또 ‘메타버스 특강과 시연’ 시간을 통해 ‘농업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사례’를 주제로 메타버스 상에서 이뤄지는 농산물 홍보와 판매활동 사례 등을 소개하고, 농업인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실습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어 진행된 ‘농튜버 토크쇼’ 시간에는 유튜브를 직접 운영해 소득을 올리고 있는 농업인들이 나와 농산물 홍보·판매를 위한 콘텐츠(contents) 설정 방향과 제작 방법 등을 설명했다.

김석철 도 농기원 원장은 “농업에서도 온라인 마케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는 만큼 다양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농업인들이 이를 활용해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