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장쑤성 당서기 방한...푸틴 방북 맞물려 ​​​​​​​한·중 릴레이 만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윤서 기자
입력 2024-06-19 16:57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중 간 고위급 인사 교류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창싱 중국 장쑤성 당서기가 19일부터 이틀간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한편, 공교롭게도 푸틴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시점에 중국이 한국과의 접촉에 나선 것을 두고 중국이 북·러 밀착에 불편한 심경을 드러낸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 2018년 5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다롄(大連) 방문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과 산책하며 친교를 쌓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발자국 동판'도 최근 제거됐다는 후문이다.

  • 글자크기 설정
  • 안덕근 장관 면담...교역·투자 활성화 등 경제협력 방안 논의

  • 전날엔 한·중 외교안보대화 열려...푸틴 북한행에 우려 표해

  • 中, 푸틴 방북 시기 맞물려 양일 韓 만남...견제구 해석

한중 외교안보대화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과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사진연합뉴스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측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사진=연합뉴스]

한·중 간 고위급 인사 교류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창싱 중국 장쑤성 당서기가 19일부터 이틀간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맞물려 한국과 중국이 외교·군사·경제 전 분야를 아우르는 만남을 이어갔다.

장쑤성은 중국 지방 정부 중 지역내총생산(GRDP) 2위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국의 최대 교역·투자 지역이다. 지난해 한국과의 교역액은 100조원에 육박해 전체 한·중 교역의 23%를 차지했다.

한국의 대중 투자가 장쑤성에 집중된 만큼 신 서기는 이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만나 △교역·투자 활성화 △현지 진출 기업 지원 △한·중 공급망 안정화 등 경제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이외에도 신 서기는 우리 측 고위 인사 면담과 지자체 관련 일정 등도 예정돼 있어 숨 가쁜 이틀을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에는 한·중 외교부와 국방부가 서울에서 '한·중 외교안보대화'를 열었다. 양측은 4시간에 걸친 회의와 2시간여 만찬을 이어가며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우리 측은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 대남 오물 풍선 살포 및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등 연이은 도발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의 북한행이 결행된 데 깊은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북·러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 긴장 조성이 중국의 이익에도 반하는 만큼, 중국 측이 한반도 평화·안정과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또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국내외 우려를 전달하고, 이들이 강제 북송되지 않도록 중국 정부의 각별한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측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지지의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앞으로도 외교안보대화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기로 했으며, '1.5트랙 대화', '외교 차관 전략대화' 등 다양한 교류·실질 협력 사업을 착실히 이행할 방침이다.

한편, 공교롭게도 푸틴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시점에 중국이 한국과의 접촉에 나선 것을 두고 중국이 북·러 밀착에 불편한 심경을 드러낸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 2018년 5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다롄(大連) 방문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과 산책하며 친교를 쌓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발자국 동판'도 최근 제거됐다는 후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