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형 산불 막는다…입산통제 강화·영농부산물 파쇄 지침 마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성진 기자
입력 2025-02-12 10: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력·소방 장비 확충…신속한 조직 운영

산림청 산불진화헬기사진산림청
산림청 산불진화헬기[사진=산림청]
정부가 봄철 대형산불 대비를 위해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의 입산 통제를 강화하고 산불 예방을 위한 영농부산물 파쇄 합동지침을 마련했다. 

정부는 12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봄철 대형산불 대비·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 2010년대 연평균 산불 건수는 440건(857ha)이었으나 2020년대 들어서 520건 (6720ha)로 크게 늘었다. 월별로 보면 2월(74건)보다 3월(138건)과 4월(113건)이 많았다. 

정부는 올해 봄도 동해안 지역의 낮은 강수가 예상돼 대형산불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판단했다. 

이번 대책에 따라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의 입산을 통제하고 등산로를 폐쇄하는 등 관리 감독을 강화한다. 동시에 대국민 정보 제공을 통해 입산자의 실화를 예방한다. 영농부산물 파쇄 규모도 20만1000t으로 확대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합동지침을 마련하기로 했다.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 운영을 통해 산불 대비태세 점검도 강화한다. 산불 발생 현황 및 기상 여건 등을 고려해 '대형산불 특별대'을 운영하고 해당 기간 동안 근무 인원 증원과 공무원의 휴일 기동 단속 실시하는 등 산불 대책을 강화한다. 

산불 대비 인력도 늘리고 물적 자원도 확충한다. 산불예방·진화인력 5만3000명, 진화차량 1853대, 산불헬기 121대를 구비할 예정이다. 산불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산불방지인력의 전문 교육·훈련도 강화한다.

지난해 18대이던 고성능 산불진화차량을 29대로 늘리고 국산 수리온 헬기 신규 배치와 정비 강화 등을 통해 산불 진화의 핵심 자원인 헬기의 진화역량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신속한 대응을 위한 조직 운영과 전략적 헬기 운용 방안도 도입한다. 산림청은 대형산불이 우려되는 5월까지 중앙 및 지역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산불 발생시 이를 신속히 수습하기 위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