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ㅁㄴㅇㄹ](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113018534787.jpg)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해법을 모색하며 경제 원로들과 의견을 나눴다. 최 회장은 미중 무역전쟁, 리플레이션 우려, AI 기술 발전, 그리고 구조적 도전 등 현재 경제가 직면한 주요 리스크를 언급하며, 민관 협력을 통한 신성장 동력 발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제 원로들은 보호무역주의의 강화, AI 산업 생태계 구축, R&D 투자 및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가 거시경제 안정을 주도할 것을 촉구했다.
최 회장은 12일 서울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미중 무역전쟁, 리플레이션 우려, AI 기술 발전, 구조적 도전 등 네 가지 리스크가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며 "경제 안정과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민관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중 무역 전쟁을 비롯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리플레이션 우려 △AI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경제 질서의 급변 △한국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도전 등 네 가지 리스크를 지목했다. 최 회장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며, "경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의사결정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세균 전 국회의장, 이헌재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유일호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경제 원로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민·관·정 협력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정부가 거시경제 안정에 주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정세균 전 의장은 "트럼프 2기 보호무역 체제가 현실화되면서, 대한민국은 필수 국가로 자리 잡기 위한 협상력을 키워야 한다"며 "AI 산업 생태계 구축에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쟁이 국가 대항전으로 변하는 상황에서 정부, 기업, 국회가 협력해 R&D 투자와 인재 육성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헌재 전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 고용 감소, 불균형 심화 등 위기 상황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과의 협력 강화 및 중국과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산업에서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중국과는 선택적·전략적 경쟁·협력 관계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는 경제팀의 비상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며 "환율 문제와 관련해 정부 개입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민간 차원의 대응이 중요하다"며 "또한, 정치적 안정이 경제 회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논의된 의견을 바탕으로 경제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 및 국회와의 정책적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