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다시 찾아온 '4월 위기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석만 부장
입력 2025-02-14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서울의 한 건설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건설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다시 '4월 위기설'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몇 년간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화두가 된 이후 잊을 만하면 'O월 위기설'이 재점화되고 있다. 

지난해에도 부동산 개발업체나 건설사 관계자들을 만나면 "업황이 이렇게까지 안 좋을 수 있나"라는 한탄이 나오긴 했지만 올해는 침체 한파의 체감 온도가 더욱 내려간 분위기다. 

삼성물산·현대건설 등 '빅5' 건설사가 올해 세운 매출 목표 합계가 지난해 거둔 매출 실적보다도 8조원이나 낮게 설정된 것만 봐도 업계 최일선의 건설사들은 올해 업황이 작년보다 더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건설산업 지표들도 침체의 골이 깊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7만173가구로 12년 만에 가장 많았고, 다 짓고도 안 팔린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은 2만1480가구로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업계 일각에서 건설사의 미분양 신고가 의무사항이 아닌 점을 감안하면 실제 미분양 주택 수가 정부 집계를 크게 웃도는 10만가구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도 제기된다.

특히 이러한 미분양은 지방을 중심으로 나타나 지방의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지역 건설사의 위축으로 연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민간 공사가 줄어들게 되고, 일감이 감소하면서 문을 닫는 중견·중소 건설사가 늘어 그에 따른 소규모 협력사까지 줄줄이 타격을 입게 되는 구조다. 

이미 지역 건설사들의 자금 경색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작년 시공능력평가 103위 대저건설은 경남 지역에 본거지를 둔 지역 내 2위 건설사지만 지난 1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부산 신태양건설이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고, 12월엔 전북에 거점을 둔 제일건설도 미분양 부담을 떨치지 못한 채 부도 처리됐다. 

지방 미분양이 지방 경기 침체로까지 이어지면서 국토교통부 등 정부는 건설경기 보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직 구체적인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큰 틀에서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금융·세제를 추가 지원하고, 지방에는 오는 7월부터 시행될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적용을 유예 또는 완화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상우 국토부 장관도 지난 11일 간담회에서 지방 미분양 주택을 줄이기 위해 기업구조조정(CR) 리츠를 조속히 출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또 장기 침체를 겪고 있는 건설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중 70%인 12조5000억원을 상반기에 집행한다는 계획을 언급하기도 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중고’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건설산업은 앞으로도 매월, 매년 ‘O월 위기설’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 정책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 시차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건설산업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는 단계적인 대책을 미리 수립해야 한다. 

정부와 금융권, 건설사 모두 협력해야 위기 극복이 가능한 만큼 건설사도 장기적으로 사업 다각화와 리스크 관리, 자구책 마련 등을 통해 한파에 견딜 수 있는 기초체력을 다져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