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은 아주경제 인터뷰에서 "전국 4군데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각각 소규모 데이터센터가 설치돼 이곳에서 관련 데이터를 모으고 있고,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에서 관리·지원한 스마트 농장들도 데이터를 축적 중"이라며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공개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필요하다면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도 같이 모으거나, 기업에서 직접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22일 발표한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에서 오는 2029년까지 밭 작물과 과일 주 산지 면적의 20%, 전국 온실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지난해 2억4000만 달러였던 스마트팜 수출을 9억 달러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스마트 농업 육성지구 5곳을 올해 신규 지정하고, 스마트팜 전문교육기관 확대 등 스마트 농업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축산 분야에서도 기존 축산시설 통계정보, 축산 차량 현황뿐만 아니라 KAHIS에 축적된 가축방역 관련 데이터베이스, 위험도 예측 정보 등을 연구기관, 기업, 축산농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오는 2026년부터 공개할 계획이다.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해 가명정보 처리 후 공개할 방침이다. 박 차관은 "데이터는 얼마든지 공개 가능하다"며 "내년이 아니더라도 올해라도 할 수 있으면 빨리 공개하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스마트화에 따른 초기 비용이 만만치 않은 데다가, 현 농지법상으로 스마트팜 시설을 지으려면 농업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법적 걸림돌도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해 7월 농지에 스마트팜 시설을 세운 경우 일시적으로 타 용도 사용을 허가하는 기간을 기존 8년에서 16년으로 두 배 늘리는 시행령 개정안을 실시했고, 장기적으로는 농지법을 개정해 농지에 스마트팜 시설을 세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박 차관은 "전 세계적으로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데 한국도 AI를 통해 산업이 바뀔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