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관세 우려에 미국의 대표적 빅테크인 애플이 신규 일자리를 2만개 창출, 인공지능(AI) 등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5000억달러(약 714조원) 이상을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라며 이에 따라 일자리 2만개 이상이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계획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 공장을 짓고, '첨단 제조 기금'(Advanced Manufacturing Fund)을 두 배로 확대하며 AI 등에 투자를 가속하는 내용도 담겼다.
애플의 이날 발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21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 모임에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 집무실에 와서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쿡 CEO가 멕시코에 있는 두 개 공장을 중단하고 대신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그들은 관세를 피하고 싶어 한다"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애플은 이 같은 관세 부과가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앞서 트럼프 1기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됐으나, 쿡 CEO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