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이 한자리에 모여 변화하는 글로벌 경영환경에 대응할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주와 자본시장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SK에 던지는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하고, 시장의 기대에 맞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겠다는 방침이 확인됐다.
CEO들은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 인플레이션, 인공지능(AI) 등 '삼각파도'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운영 효율화와 본원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행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25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는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재로 SK㈜ 장용호, SK이노베이션 박상규, SK하이닉스 곽노정, SK텔레콤 유영상 등 주요 계열사 CEO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맞춰 운영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다짐했다.
SK그룹은 매월 한차례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열어 그룹 내 현안을 논의하고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해 추진한 리밸런싱 경과를 점검하며, 재무구조 및 사업구조 강화, 운영 효율화 등으로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음을 공유했다.
CEO들은 앞으로 운영 효율화를 더욱 강화하고, AI 등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체력을 비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사업의 수요 정체 현상(캐즘) 지속, 석유화학 업종 불황 등 주요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하며 대응책 마련에 집중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최창원 의장은 "삼각파도 등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이해관계자들이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며 "리더들이 질문을 회피하지 말고, 해법을 찾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도체 사업의 지속적인 혁신, 배터리 밸류체인 캐즘 극복, 재무건전성 강화 등은 SK그룹이 직면한 주요 과제"라고 덧붙였다.
CEO들은 "운영개선은 기본과 원칙의 문제"라며, 이를 통한 비용 절감과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또한,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실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최 의장은 "리더들이 업의 본질을 짚고,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우리 스스로를 경계하고 솔선수범하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성과를 실현해 나가자"고 말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1월 신년사에서 "본원적 경쟁력은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의미한다"며 "신속한 운영개선과 경영 내실 강화를 통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