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덕양구 대자동 수소충전소에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버스 신설노선 7602번 개통했다.
1일 고양시에 따르면 7602번(고양동~영등포)은 2024년 대광위 광역버스로 선정된 직행좌석형 노선으로, 차량출고 및 운행준비를 마치고 운행을 개시했다.
이번 신설노선은 광역버스 불모지인 고양동을 기점으로 서울 서남권역 진입 요구가 많았던 덕양구 신규택지지구 삼송, 원흥, 향동, 덕은동, 향동·덕은 지식산업센터를 경유해 기업하기 좋은 교통환경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7602번 버스는 11대 모두 수소전기버스로 운행된다. 차고지에 수소충전소도 완비돼 있어 미니 수소도시 선도사업과 연계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는 2023년부터 대광위 준공영제에 적극 참여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덕양권 교통환경 개선을 위해 7602번 노선이 우선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고양시는 새학기를 맞아 K-패스·기후동행카드 등 대중교통비를 지원하고 GTX-A 연계 버스노선 37개를 운행한다. 효율적인 버스노선 개편안을 마련하고 교통취약지역을 위한 수요응답형 버스 운행을 지속해 편리한 교통환경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고양시는 올해 버스·전철 간 효율적인 환승·연계 체계 구축을 위해 고양시 버스노선 체계 개편 연구 용역을 실시한다. 고양시 인·면허 노선과 간접적으로 고양시를 경유하는 타 시·군 노선을 대상으로 2026년까지 개편안 수립을 완료하고 2030년도까지 노선조정을 실행할 방침이다.
이번 용역으로 창릉지구, 대곡역세권 등 대규모 택지·도시개발사업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고 GTX-A, 서해선, 교외선 등 광역철도 확대로 인한 버스 연계와 노선버스 굴곡도 개선 및 중복노선 조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양시는 대중교통서비스가 부족한 4개 지역에 고양 똑버스 14대를 운영하고 있다. 고양 똑버스는 ‘똑타 앱’을 이용해 호출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DRT) 버스다. 식사동과 고봉동은 2023년 운행을 시작해 각 4대, 3대를 운행 중이며 지난해 말부터 덕은동은 3대, 향동동은 4대 운행을 개시해 서울 가양역 접근성이 개선돼 출퇴근 시간대 직장인들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이 시장은 지난달 31일 개통식에서 “7602번 버스가 출근부터 퇴근까지 시민의 하루를 함께하는 수단으로 시민에게 일상의 편리함을 선사하고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며, “앞으로도 준공영제 확대를 통해 안정적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시변화에 발맞춘 교통환경 개선을 통해 살기 좋은 도시,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