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밸류업 정책도 추진 동력을 잃고 있다. 특히 주주환원을 늘린 기업의 법인세를 깎아주고 이들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의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리겠다는 '밸류업 세제지원책'도 출렁이고 있다. 이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면 투자자 신뢰 회복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가 이어지고, 이는 국내 자본시장 활성화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탄핵 정국 이전까지 적어도 금융지주사의 밸류업 정책은 순탄한 길을 걸어왔다. 지난해 2월 정부의 밸류업 정책 발표를 시작으로 5월 밸류업 공시 가이드라인 마련, 11월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 상장까지 큰 문제가 없었다. KB금융의 밸류업 예고공시를 시작으로 102곳이 넘는 상장사가 밸류업 본공시와 예고공시에 참여했다. 당연히 시장의 성과와 기대도 쌓여갔다.
하지만 정치 불안과 조기 대선으로 인해 벨류업 정책은 올해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게 됐다. 탄핵정국이 이어지고 최근 관세 폭탄에 국내 주식시장마저 부진하면서 밸류업에 대한 금융당국과 금융지주사들의 의지가 꺾이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금융당국과 금융지주사들은 해외를 순방하며 투자자들에게 밸류업 정책이 추진될 것이라고 알려왔지만 물거품이 된 셈이다.

다행인 점은 정치권 모두 이를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6월 출범하는 새 정부의 문제 해결 의지와 능력도 중요해 졌다. 만약 새 정부가 자본 시장, 금융 산업 발전 방향을 일관성 있게 제시하지 못한다면 힘겹게 이어져 온 밸류업 정책 동력은 모두 사라지고 말 것이다. 부디 새 정부는 지속가능할 수 있는 밸류업의 길을 찾길 바란다. 밸류업은 정권과 상관없이 이뤄져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