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붙는 국힘 경선 레이스…'반명 빅텐트' 결집 분위기

  • 김문수 "DJP 등 연합 정치 필요"

  • 한동훈·홍준표는 정책 비전 경쟁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손경식 경총 회장이 15일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접견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2025415 공동취재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왼쪽)이 15일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접견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 대선주자들은 예비후보 등록 마감 시한인 15일 저마다의 방식으로 존재감을 드러내며 본격적인 경선 레이스에 불을 댕겼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을 찾아 '반(反)이재명 빅텐트' 필요성을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국회,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자신의 캠프사무소에서 정책 비전을 발표하며 차기 대권의 적임자를 자처했다.

김문수 전 장관은 이날 서울 마포구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 후보를 이기기 위해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며 "(각 후보들이) 조금씩 다 나눠 먹으면 이 후보가 쉽게 당선되는 것"이라고 적대심을 드러냈다. 과거 15·16대 대선 당시 DJP(김대중-김종필), 노무현·정몽준의 단일화 성공 사례를 회상한 김 전 장관은 "선거에 이기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독주세를 그리는 당내 후보군이 부재한 만큼 '범(汎)보수 연합 정치'를 통해 반전을 꾀하자는 취지로 읽힌다. 홍 전 시장도 이날 '연정'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빅텐트론에 힘을 실었다.

김 전 장관과 함께 1차 컷오프(예비경선) 통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한 전 대표와 홍 전 시장은 각각 '경제'와 '정치' 개혁에 중점을 둔 공약을 통해 미래 청사진을 밝혔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회견을 열고 "'성장하는 중산층'을 국가 비전의 중심에 두겠다"며 인공지능(AI) 3대 강국·국민소득 4만 달러·중산층 비율 70% 확대 등 이른바 '3·4·7 성장' 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AI 인프라 조성에 총 200조원을 투입한다는 공격적 구상으로, 관련 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 기구인 '미래전략부' 신설도 공약했다. 근로소득세 경감·유산취득세 전환 등 조세 정책과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한평생 복지계좌' 도입 등의 복지 정책도 내놨다.

홍준표 전 시장은 여의도 대하빌딩 내 캠프에서 "대한민국 국호 빼고 다 바꾸겠다"며 4년 중임제·국회 양원제·정부통령제 도입 등 정치 부문 국가 대개혁 구상을 발표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이후 정치권에서 체제 전환 논의가 들끓고 있는 만큼 차기정부 출범 직후 대통령 직속 '개헌추진단'을 설치, 곧바로 개헌에 착수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외에도 △헌법재판소 폐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 △선거관리위원회 대수술 등을 공약하며 당 지지층을 겨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