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30주년' 맞은 CJ ENM, '보플2' '언프리티' 대형 IP·멀티레이블로 K팝 글로벌 도약

CJ ENM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 사진CJ ENM
CJ ENM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 [사진=CJ ENM]
CJ ENM이 음악사업 30년을 맞아 새로운 글로벌 도약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글로벌 멀티 레이블 구축부터 초대형 오디션 프로그램 론칭, 팬덤 플랫폼 '엠넷플러스(Mnet Plus)' 확대까지 공격적인 행보로 음악사업의 판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1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청담동 더 클래식 청담에서 열린 CJ ENM 'Mnext : Worlds of Mnet Since 2025' 미디어 라운지에서는 CJ ENM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과 엠넷플러스 김지원 사업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향후 글로벌 음악사업 전략과 비전을 공유했다.

이날 신 본부장은 "엠넷의 음악 사업은 과거보다 미래, 즉 '엠넷 넥스트'를 향해 있다"며 "2025년에는 글로벌 멀티 레이블,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글로벌 플랫폼을 3대 핵심 축으로 삼고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확장성을 키워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글로벌 멀티 레이블 측면에서 CJ ENM은 웨이크원과 일본 현지에 설립한 라포네엔터테인먼트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연내 새로운 글로벌 아티스트 레이블을 추가 설립할 예정이다.

신 본부장은 "첫 번째 레이블인 웨이크원을 통해 로이킴, 조유리, 케플러, 제로베이스원 등 다수의 글로벌 아티스트가 탄생했다. 일본 현지에 설립한 라포네엔터테인먼트에서도 일본인 아티스트 JO1과 ME:1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며 "K팝 DNA를 글로벌 현지와 결합한 새로운 레이블을 통해 해외 아티스트와 해외 프로듀서까지 적극 참여시킬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전략 또한 구체화됐다. 글로벌 댄스 크루의 국가 대항전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한국과 중국 두 가지 언어 버전으로 제작해 동시에 방송하고 데뷔시키는 초대형 오디션 프로그램 '보이즈 투 플래닛', 애플TV+와 협력해 선보이는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K-POPPED)', 글로벌 밴드 오디션 등이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신 본부장은 "'보이즈 투 플래닛'의 경우 이미 전 세계 110개국에서 참가자들이 지원했고, 600여 개 기획사에서 협업 제안을 받았다. 한국어와 중국어로 각각 제작되는 최초의 도전으로, 새로운 포맷과 규모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2025년 하반기 방영 예정인 한일 합작 힙합 프로젝트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가 첫선을 보일 계획이다.

CJ ENM은 음악 기반의 IP 생태계 시스템 '뮤직 크리에이티브 에코 시스템(MCS)'을 통해 아티스트 발굴부터 중소 기획사와의 협업, 글로벌 파트너십 등 음악산업의 생태계를 지속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엠넷플러스 김지원 사업부장 사진CJ ENM
엠넷플러스 김지원 사업부장 [사진=CJ ENM]

이러한 생태계 중심에는 글로벌 플랫폼 '엠넷플러스(Mnet Plus)'가 자리 잡고 있다.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은 "엠넷플러스는 론칭 3년 만에 2700만 가입자, 월간 활성 이용자(MAU) 700만 명, 누적 투표수 3억 3천만 건을 달성하는 등 괄목할 성장을 보이고 있다"며, "향후 K팝 콘텐츠, 팬들과의 소통, 글로벌 커머스 등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글로벌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업부장은 "엠넷플러스에서만 볼 수 있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연내 50여 편 제작할 예정"이라며 "팬들의 적극적 참여를 이끄는 '팬터랙티브 콘텐츠' 확대와 함께 실시간 소통을 강화할 '플러스챗(Plus Chat)' 서비스도 지속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는 4월 24일 베타 서비스로 오픈하는 '엠넷플러스 머치(Mnet Plus Merch)'를 통해 글로벌 팬들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K컬처를 경험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커머스 플랫폼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CJ ENM 측은 IP 제작사로의 변화를 선언한 배경에 대해 "사업자와 플랫폼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라며 "30년간 축적된 영상 콘텐츠 제작 노하우와 플랫폼 기술력을 바탕으로 타 팬덤 플랫폼과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선보일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이어 K팝의 인기 요인으로 "K팝이 가진 다양성과 새로움, 팬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가 시대정신과 부합했기 때문"이라며 "최근 K팝 팬덤은 세대 간 교류가 확대되며 가족 단위로 소비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지원 사업부장은 엠넷플러스의 최종 비전에 대해 "어느 국가에서든 K팝에 관심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플랫폼이 되겠다"며 "엠넷플러스가 글로벌 팬들의 필수 앱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