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꼈던 프란치스코 교황…세월호 유족·위안부 피해자 등 보듬어

  • 2014년 한국 방문 당시 사회적 약자 다독여

  • 한국인 추기경 2명 임명…방북 의지 표명도

프란치스코 교황사진EPA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 [사진=EPA·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즉위 후 첫 아시아 방문지로 한국을 택하는 등 생전 한국을 각별하게 아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8월 14∼18일 4박 5일간 한국을 방문해, 세월호 참사 유족을 위로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나 꽃동네 장애인 등 고통받거나 소외된 이들을 보듬었다. 그는 성남 서울공항 도착 직후, 마중 나온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족 4명의 손을 잡고 "마음속에 깊이 간직하고 있다. 가슴이 아프다.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있다"며 마음을 다독였다.
 
광복절에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성모승천대축일 미사를 집전할 때는 세월호 유가족으로부터 받은 노란 리본 모양의 배지를 가슴에 달고 “생명을 잃은 모든 이들과 이 국가적 대재난으로 인하여 여전히 고통받고 있는 이들을 성모님께 의탁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프란치스코 교황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제주 강정마을 주민, 밀양 송전탑 건설 예정지역 주민, 용산 참사 피해자, 북한이탈주민과 납북자 가족 등 사회적 약자에 손을 내밀었다. 그는 이들을 초청하고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평화와 화해를 위한 미사'를 집전했다. 충북 음성군 꽃동네를 찾아갔을 때는 장애인들과 함께 50여분 내내 서 있었다. 
 
교황은 한국 방문 당시 물질주의의 함정을 경계하라고 했다. 대전에서 열린 성모승천대축일 미사에서 "올바른 정신적 가치와 문화를 짓누르는 물질주의의 유혹에 맞서, 그리고 이기주의와 분열을 일으키는 무한경쟁의 사조에 맞서 싸우기를 빈다"며 "새로운 형태의 가난을 만들어 내고 노동자들을 소외시키는 비인간적인 경제 모델들을 거부하기를 빈다"고 강론했다.
 
프란치스코 교항이 역대 한국인 추기경 4명 중 2명을 임명한 데서도 한국을 향한 애정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염수정(82) 안드레아 추기경(2014년 서임)과 유흥식(74) 라자로 추기경(2022년 서임)을 임명했다. 
 
특히 유흥식 추기경은 대전교구장으로 재직하던 2021년 6월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으로 전격 발탁했다. 이는 교황청 장관에 한국인이 임명된 첫 사례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한국에 대한 애정은 전 세계 가톨릭 젊은이들의 신앙 대축제인 '세계청년대회'(WYD) 차기(2027년) 개최지를 서울로 결정한 데서도 알 수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박근혜 전 대통령,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역대 한국 대통령들과도 긴밀하게 소통했다. 가톨릭 신자인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10월과 2021년 10월 두 차례에 걸쳐 바티칸을 찾았고, 이 만남에서 교황은 방북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반도 평화를 간절하게 기원했다. 방한 첫날 청와대에서 박근혜 당시 대통령을 비롯한 공직자들을 향해 한 연설에서 "한국의 평화 추구는 이 지역 전체와 전쟁에 지친 전 세계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우리 마음에 절실한 대의"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