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한동훈, 계엄 책임부터 핵무장까지 정면충돌

  • 홍준표 "한동훈, 숟가락만 얹은 주역" vs 한동훈 "야당만으론 불가능했다"

  • 수사구조 개편·북핵 해법 놓고 극명한 이견… 정책 비전 정면충돌

25일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홍준표 후보가 한동훈 후보를 상대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홍준표 후보가 한동훈 후보를 상대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이 격화되는 가운데,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인 홍준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국가 위기 상황에 대한 책임과 대응, 핵심 정책 비전에 이르기까지 첨예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며 정면충돌했다. 

25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토론회 2부에서는 홍 후보가 주도권을 가지고 한 후보에게 질문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가장 뜨거운 공방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해제 조치 책임 공방이었다. 홍 후보는 "계엄을 막은 건 야당이다. 한 후보는 숟가락만 얹은 것"이라며 한 후보를 정면으로 겨냥했다. 그는 "한 후보가 자꾸 계엄 막았다고 주장하는데, 한 후보를 따라다닌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았어도 야당 단독으로 해제 요건을 충족할 수 있었다"라며 "계엄 해제의 주역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선포에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당대표가 계엄 선포 사실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몰아붙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 후보는 "홍 후보의 독단적인 생각"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그는 "국민의힘이 계엄이 위헌·위법이라고 가장 먼저 나섰고, 우리 의원들이 국회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군이 국회를 해산하거나 더 강한 조치를 취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야당 단독으로 해제됐다면 윤 전 대통령이 2차 계엄을 선포하거나 국회 해산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위기 상황에서의 여당의 역할을 강조했다.

홍 후보는 이에 굴하지 않고 "계엄 해제 의결 당시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한 후보가 웃으며 악수했다"며 "이 대표와 웃고 떠들었다"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그 장면에선 악수가 필요했고, 그것이 당당한 태도였다"며 홍 후보를 향해 정치를 그렇게 하지 말라고 반박했다. 

토론 중반부에는 수사 구조 개편과 북핵 대응 등 핵심 정책에 대한 견해차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한 후보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폐지를 주장하며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국민 입장에서 수사구조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공수처 도입과 검수완박 이후 사건 처리 속도가 늦어졌고, 그 과정에서 약자만 고통받고 있다"며 "검수완박을 원상회복하고, 국민에게 검찰이 최종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되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검찰을 무조건 옹호할 생각은 없다"고 덧붙였다.

북핵 문제를 두고도 두 후보는 입장을 달리했다. 홍 후보가 "핵무장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한 후보는"NPT(핵확산금지조약) 탈퇴가 불가피해진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는 "NPT 탈퇴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불러와 국가적으로 큰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며 "농축·재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핵 잠재력을 확보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적 핵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즉문즉답 코너에서는 대통령 당선 시 '도어스테핑'(출근길 기자 질의응답)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한 후보는 "매일 출근길에 하는 건 적절하지 않지만, 대통령이 정기적으로 기자들과 소통할 필요는 있다"며 "언론과의 소통 부족이라는 비판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총리처럼 정기적으로 즉문즉답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반면 홍 후보는 "대통령이 매일 국정 현안을 출근길에 브리핑하는 건 적절치 않다"며 "분기별로 1년에 4번 정도 국정 브리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