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이 28일(현지시간)에 열린 총선에서 승리했다. 다만, 개표 초반 과반 의석 확보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공영 CBC 방송, CTV 뉴스 등 캐나다 언론들은 이날 투표 종료 후 자유당이 가장 많은 의석수를 차지해 정권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CTV 뉴스는 이날 자정 무렵 기준으로 자유당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과반 의석(172석)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다.
자유당은 하원 전체 343개 의석 중 156개 지역구에서 당선 또는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제1야당인 보수당이 145개 지역구에서 당선 또는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CTV는 전했다.
이번 총선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협박과 ‘미국의 51번째 주’ 발언 등 주권 침해 논란 속에서 치러졌다. 자유당은 이러한 외부 위기 속에서 이례적으로 정치적 반전을 이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유당과 정책 협력을 맺어온 진보 성향 신민주당(NDP)의 지지 철회는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의 사임과 조기 총선 실시의 직접적인 배경이 됐다. 트뤼도 전 총리가 9년여간 이끌어 온 자유당은 고물가와 주택가격 상승 등에 따른 불만으로 지지도가 하락세를 보여왔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제1야당인 보수당은 자유당과의 지지율 격차를 20%포인트 이상 벌리며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가 차기 캐나다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그러나 포일리에브르는 ‘캐나다의 트럼프’라는 이미지 탓에 지지 기반이 약화됐고 경제 위기에서 안정감을 보여주지 못해 패배를 맞았다.
반면 지난달 취임한 카니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및 주권 위협에 강경 대응하며 “캐나다는 어떤 형태로든 미국의 일부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해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었다.
또 정치 경험도 없고 대중적 인지도가 낮았던 카니 총리는 경제 전문가로서 관세 위기 대응에 강점을 보였다.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로 위기 극복에 기여했고, 2013~2020년엔 외국인 최초로 영국 중앙은행 잉글랜드은행(BOE) 총재를 맡아 브렉시트 충격에 대응한 경험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