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9일 국가적 위기 극복을 위해 ‘통합’과 ‘도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선 출마설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시점에서 한 대행의 메시지를 두고 다양한 정치적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미래를 지향하는 정치와 현재를 책임지는 행정이 힘을 모아 나간다면 작금의 어려움은 반드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다시 위로 앞으로 도약하며 세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와 행정의 협력을 언급한 것은 윤석열 정부 들어 연이은 탄핵안과 특검법의 발의, 이에 맞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반목과 갈등을 거듭한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한 대행이 다음 달 1~2일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할 수 있다는 관측이 있는 만큼 본인의 정치적 의중이 담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50년 넘게 진보와 보수 정부 양측에서 행정력을 발휘한 만큼 자신이 위기 상황에서 국민 통합을 통한 도약을 이뤄낼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대행 측과 국민의힘 내부 인사 간 물밑 접촉 움직임도 감지된다.
최근 한 대행 측 인사가 국민의힘 대선 경선 출마를 포기한 오세훈 서울시장 측 인사와 접촉해 캠프 합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행 측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측과도 접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과의 ‘반명(반 이재명) 빅텐트’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대철 헌정회장은 이날 MBC라디오에 나와 “(이 상임고문이) ‘바깥에서 빅텐트를 친다면 자기도 흔쾌히 돕겠다’고 하는 것을 내가 직접 들었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2차 경선을 통과한 김문수·한동훈 경선 후보와의 단일화 성사 여부도 주목된다.
김 후보가 단일화에 적극적인 반면 한 후보는 한 대행과의 단일화보다 경선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 대행과 국민의힘 최종후보가 단일화를 시도할 경우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다음 달 11일이 첫 번째 시한이 될 전망이다.
한 대행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지명하지 못하도록 한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한 대행은 지난 8일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 2명을 지명했으나, 헌법재판소는 지난 16일 한 대행의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의 효력을 정지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등 국회 내 진보 진영은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을 금지하는 헌재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