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로 강남·마용성 거래 활발해지니…40대가 가장 많이 매입

  • 강남 등 고가지역 거래 증가 영향

  • 30~40대가 아파트 매매 시장 양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을 받은 지난 3월 40대의 매수 비중이 30대를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아파트값이 높은 강남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의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349건 중 40대가 전체의 33.8%(3158건)를 매수해 연령대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30대의 32.5%(341건)보다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수 비중은 2019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지난해까지 30대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30대 매수 비중은 2019년 평균 28.8%로 40대(28.7%)를 근소한 차이로 앞선 이후 2020년 30대 비중이 33.5%로 40대(27.5%)와 격차가 벌어졌다. 2021년에는 아파트값 급등세에 놀란 30대(36.4%)가 서울 아파트를 대거 매수해 40대(26.4%)와의 격차를 10%포인트까지 벌리기도 했다.

지난해 금리 부담과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시중은행의 대출 중단 등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30대의 매수세가 주춤해지면서 40대(31.7%)의 매수 비중이 30대(31.9%) 수준에 육박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30대의 매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은 40대가 30대 매수 비중을 근소하게 앞서기도 했다.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는 다시 30대의 매수 비중이 더 높았다.

3월 들어 40대 비중이 높아진 것은 40대가 토허제 해제 지역의 높은 아파트값을 부담할 능력이 더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40대의 매수 비중이 42.8%와 44.5%로 30대(각 19.5%, 21.1%)를 압도했다. 송파구와 강동구 역시 40대 매수 비중이 35.6%, 35.3%로 30대(각 26.9%, 25.5%)보다 크게 높았다.

정비사업 호재 등으로 아파트값이 강세인 용산구와 양천구도 40대(각 38.1%, 43.8%)와 30대(25.5%, 30.4%)의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매매 시장은 최근 들어 30대와 40대가 비슷하게 양분하는 모습"이라며 "금리 인하 기조와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 2억원 완화 등이 맞물리며 '추격 매수' 심리도 자극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