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우디 이어 카타르와도 1600조 '빅딜'…안보·경제 '메가 패키지' 합의

  • 항공·에너지·방산·안보 등 광범위한 분야서 협력 강화

  • 전날 사우디서 6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합의

  • 이란 향해서는 "폭력적인 코스를 원치 않는다"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중동 순방에서 ‘오일머니’를 제대로 한몫 챙겼다. 안보 협력 강화를 지렛대로 사우디아라비아 850조원, 카타르 1680조원 등 ‘안보-경제 패키지’ 빅딜(큰 거래)을 성사시켰다. 카타르 군주(에미르)와 만나서는 이란과의 핵 관련 협상에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카타르에서 최소 1조2000억 달러(약 1680조원) 가치의 경제교류를 창출하는 합의에 서명했다. 백악관은 보잉, GE에어로스페이스가 카타르항공과 96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해당 계약은 카타르항공이 미국산 보잉 787 드림라이너와 GE 에어로스페이스 엔진을 탑재한 777X 항공기 최대 210대를 구매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항공사들이 통상 구매 시 할인 협상을 진행하기 때문에 최종 가격은 960억 달러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짚었다.

미국과 카타르는 에너지 인프라 구축 및 기술 개발 분야에서도 손을 잡았다. 미국의 에너지 엔지니어링 기업 맥더모트는 카타르 에너지와 85억 달러 규모의 7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솔루션 공급업체 파슨스는 970억 달러 규모의 30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양자 컴퓨팅 기업 퀀티넘은 카타르의 알 라반 캐피털 측에서 양자 컴퓨팅 기술 개발에 최대 10억 달러를 투자받기로 했다.

방산·안보 분야 협력도 강화했다. 미 방산업체 레이시온은 카타르의 드론 방어 역량 강화를 위한 1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제너럴아토믹스는 무인 군용기 MQ-9B(스카이가디언) 납품을 위한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양국은 280억 달러 이상의 잠재적 투자를 포함한 안보 협력 강화 의향서에도 서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첫 중동 방문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6000억 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다만 미 뉴욕타임스(NYT)는 “백악관은 사우디와 60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고 하지만 미 정부가 공개한 사업 계약 총액은 2830억 달러로 집계됐다”며 수치가 실제보다 과장됐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중동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이란의 핵 협정에 대한 압박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카타르 도하에서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를 만나 “이란 상황과 관련해 나를 도와주길 희망한다”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폭력적인 코스를 원치 않는다”며 “그들(이란)은 움직여야 한다”고 압박했다. 미국 정부도 이에 맞춰 이란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제조에 필요한 물질 확보를 도운 중국과 이란 등지의 개인 6명과 법인 12곳을 제재한다고 발표했다. 전날에는 이란 군부를 대신해 수십억 달러(수조 원) 가치의 이란산 원유 수백만 배럴을 중국으로 배송하는 데 관여한 국제 네트워크를 제재한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6일까지 나흘간 일정으로 사우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순방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