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JP모건과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투자사들은 올해 한국에 방문해 주요 금융지주사 회장들과 만나서 밸류업 계획을 청취했다. 투자사들은 국내 금융시장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도 대통령 탄핵 이후 불안정해진 투자 환경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일부 해외 투자자들은 지난해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줄어든 것을 예로 들며 최근 투자환경에 대한 질문도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반복되는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각종 규제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위험 요소로 부각되며 국내 금융기업 밸류업의 매력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5월까지 외국인 투자자는 금융지주사를 포함한 금융업권(코스피 기준)에서만 2조6521억원이 넘는 주식을 순매도했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도 금융권 밸류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공약 중 '가산금리 산정 시 법적 비용의 금융소비자 부당 전가 방지'가 실현될 경우 금융사들은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각종 비용을 추가로 떠안아야 한다. 횡재세도 형태만 바꾸어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진정한 금융산업 밸류업이 이뤄지려면 금융을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악순환을 끊고 이에 걸맞은 규제 해소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금융업 청사진에 대한 큰 그림이 나와야 하는데 이번 공약에는 지출 얘기만 들어있다"며 "감독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차원에서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규제 환경 조성이 시급한 때"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