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지난 3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사고의 원인 조사 기간을 두 달 연장하자 서울시와 강동구가 조속한 결과 발표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가 보다 면밀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 기한을 이달 31일에서 7월 30일까지로 연장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사고조사위는 "그간 지하철 9호선 공사의 시공·관리 실태와 사고 발생 지점의 지질 조건, 자료 조사를 추진해 왔다"면서 "추가 정밀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명확하게 밝힐 계획"이라고 했다.
강동구도 명일동 땅꺼짐 사고와 관련해 주민들의 불안감과 경제적인 타격을 최소화하고 피해배상을 위해 국토부의 조속한 발표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사고에 대한 원인이 확인되어야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배상과 관련 조치가 추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하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국토부는 일정 규모 이상의 피해가 난 사고 조사를 위해 독립적 기구인 중앙지하사고조사위를 구성·운영할 수 있다. 위원회는 최대 6개월간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위원회는 3차원 지질 구조, 상하수도 관망도 분석과 함께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시공·설계가 싱크홀 발생에 영향을 미쳤는지도 검토할 예정이다.
박인준 위원장은 "전문기관의 추가 분석 결과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한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