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대면조사를 마무리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6시 34분 조사를 종료했고, 현재 조서 열람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는 이날 오전 9시 4분부터 시작돼 낮 12시 5분 중단됐고, 오후 1시 7분부터 재개돼 약 5시간 반 동안 이어졌다. 오전에는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막았다는 혐의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고, 오후에는 나머지 혐의들에 대한 신문이 진행됐다.
오전 조사는 1차 조사 당시 중단된 체포영장 집행 저지 의혹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특검은 “체포 방해 관련 조사는 순조롭게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특검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 등 국무회의에 불참한 장관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국무위원 전원을 소환하거나 피의자로 조사한다는 방침은 없다”며 “출석한 국무위원들 모두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고 강조했다.
박 특검보는 “참고인 조사를 두고 피의자 조사로 오해하거나, 조사의 객관성과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는 수사에 부정적 영향을 주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는 만큼 자제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북한의 군사적 반응을 유도해 무력 충돌을 일으키려 했다는 외환 혐의와 관련해서도 이날 조사를 이어갔다. 이는 계엄 선포의 명분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였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이와 관련해 특검은 다수의 군 관계자들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이미 진행한 상태다.
조사에는 박억수·장우성 특별검사보 지휘 아래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가 윤 전 대통령을 직접 신문했으며,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은 조사실에 입회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참여했다. 윤 전 대통령 측에선 송진호·채명성 변호사가 조사에 동행했다.
특검은 조서 열람 이후 귀가 여부와 추가 소환 필요성 등을 판단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hsh**** 2025-07-05 19:11:34빨리 구속하세요. 개라슥 돌아다니는 거 보니만해도 역겨움.